3세대 HMD 소니 HMZ-T3W, 좋아진 것과 그대로인 것

사용자 삽입 이미지

2년 전 소니가 머리에 쓰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Head Mount Display, 이하 HMD)를 내놨을 때 그 의외성에 깜짝 놀랐더랬다. 감귤 상자만큼 큼지막하고 무거운 장치를 머리에 써야 했던 초창기 HMD에 비하면 가볍고 매우 세련된 형태로 내놨던 덕분이다. 소니 HMZ-T1은 머리에 쓰고 보는 극장의 컨셉에 맞게 충분한 화면 크기를 눈앞에 펼쳐놨지만, 금세 영상 품질과 편의성의 부족을 드러냈다. 그 뒤 단점을 개선한 HMZ-T2를 지난 해 출시한 소니는 지난 9월 IFA에서 3세대 HMD인 HMZ-T3를 공개했다. 소니 코리아는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고 있는 지스타의 대규모 전시 부스를 구축, 3세대 T3에서 영화와 게임 컨텐츠를 다양한 환경에서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는데, 종전 모델과 비교해 3세대 T3가 올바른 진화를 했는지 현장에서 확인해 봤다.

배가 쏙 들어간 듯 홀쭉해진 본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난 IFA와 이번 지스타에서 HMZ-T3를 보자마자 직감할 수 있던 한 가지가 있다. 더 작아지고 가벼워졌다는 게 눈에 바로 보였다는 점이다. 이 점은 HMZ-T1과 T2를 쓰던 이용자들이 T3에서 가장 부러워할 점으로 작용할 듯하다. 사실 T2(330g)와 비교하면 고작 10g 더 가벼워졌을 뿐이지만, 가로세로 길이가 210x196mm이었던 T2와 비교했을 때 189x148mm의 T3는 확실하게 배가 쏙 들어가 홀쭉하게 보인다. 앞으로 툭 돌출된 부위가 쏙 들어간 덕분에 이전보다 덜 과격하고 색상도 좀더 어둡게 바꿔 지나치게 세련된 이전 모델에 비해 많이 정숙해졌다.

모바일 경험을 더하다

HMZ-T3의 가장 큰 변화는 모바일 환경에서도 쓸 수 있도록 구성을 바꿨다는 점이다. 이는 단순히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연결해 시청할 수 있는 것을 말하는 게 아니라 HMD를 집이 아닌 밖에서도 쓸 수 있도록 구성했다. 소니 HMZ-T1과 T2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유닛에 연결해야만 쓸 수 있는 데, 이 장치가 셋톱박스와 거의 같은 크기인데다 가정용 전원을 쓰는 장치여서 휴대할 수 없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HMZ-T3의 배터리 유닛
하지만 T3는 프로세서 유닛대 바로 꽂는 것이 아니라 프로세서 유닛에서 내보내는 무선 영상 신호나 모바일 장치의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만든 배터리에 꽂도록 만들었는데, 배터리 유닛이 유대가 가능한 크기와 무게여서 어디든 들고 다닐 수 있다. 배터리 유닛으로 영상을 볼 수 있는 시간은 모바일 장치를 연결했을 때 3시간, HDMI로 외부 장치와 연결했을 때 7시간이다.

짧아진 신호선과 나아진 편의성

사용자 삽입 이미지

HMZ-T3가 프로세서 유닛과 배터리 유닛으로 분리되면서 좋아진 점이 하나 더 있다. 프로세서 유닛과 직접 연결해야만 했던 T1, T2와 달리 배터리 유닛에 연결함으로써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데 필요한 신호선의 연결 길이가 매우 짧아졌다는 점이다. 신호선이 짧아짐으로써 이용자는 걸리적 대는 두터운 케이블에 의한 불편을 더이상 겪지 않아도 된다. 배터리 유닛은 따로 외부 전원을 쓸 수 있고 이전보다 훨씬 쉽고 자유롭게 몸을 움직일 수 있다.

무선 스트리밍으로 댁내 이동성 향상

사용자 삽입 이미지
더 작아진 프로세서 유닛
T3가 프로세서 유닛과 배터리 유닛으로 분리한 상태에서 두 장치는 무선으로 영상 신호를 주고 받는다. 여기에 쓰인 와이어리스HD(버전 1.1)는 60GHz의 높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무선 영상 전송 기술로 품질 손상이 거의 없이 원본 영상을 T3로 보내준다. 와이어리스 HD 덕분에 프로세서 유닛이 어디에 있더라도 이용자가 원하는 곳에서 영상을 감상하기가 훨씬 수월해졌다. 종전  T1과 T2는 프로세서 유닛을 둔 곳에서만 감상할 수 있었는데, 그런 한계를 벗어날 수 있게 된 것이다. 다만 배터리 유닛의 기본 배터리로 재생할 수 있는 시간은 3시간 남짓이고, 배터리 유닛에 전원 케이블을 연결해 놓으면 제한은 없다.

대형 화면은 그대로, 화질은 좀더 향상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바일 장치의 화면을 더 크게 즐길 수 있고 화질 저하도 거의 없다
HMZ-T1에 이은 T2가 나왔을 때 가장 나아진 점은 바로 화질이었다. 둘다 똑같은 해상도의 OLED 유닛을 썼지만, 실제 T1은 울퉁불퉁한 화질이었던 반면 T2는 훨씬 개선된 화질로 영상을 표시했다. T2와 T3의 화질을 곧바로 비교하기는 어렵긴 하나 지스타에서 T3를 써보니 HD이상의 영상이 깨질 것을 걱정할 필요는 없을 듯하다. 화면 크기는 750인치지만 그 느낌이 모두 들때도 있고 아닐 때도 있다. 3D 입체는 좀더 자연스러워졌지만, 게임을 할 때 어지러운 느낌이 완전히 사라지는 건 아니다.

안경 쓴 사람에겐 여전히 불리

T1과 T2에서 지속적으로 지적했던 단점 중 하나는 안경을 쓴 이들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T3는 이 점을 조금 개선하긴 했지만, 그래도 여전히 안경을 쓰는 이들에게 편하진 않다. HMZ-T 시리즈는 안경을 벗고 썼을 때 초점을 맞추기 매우 힘든 탓에 반드시 안경을 써야만 하지만, 안경 위에 쓰고 T3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했을 때 갑갑함은 여전했다. 렌즈 초점을 5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고 하나, 안경을 쓰는 이들을 위한 대안이 들어가야 한다고 또 한번 말해야 할 듯하다.

PHIL CHiTSOL CHOI Written by:

4 Comments

  1. 2013년 11월 15일
    Reply

    HMD의 실질적인 이용 형태가 어떻게 될지 궁금해지네요. 운전 하거나 주행 중에 도움이 되어야 할텐데 그렇게 되려면 휴대성 외에도 사용성이 좋아야할테니까요 ^^
    아무튼 기대가 되는 미래의 모습입니다. 잘 보고 갑니다.

    • 칫솔
      2013년 11월 23일
      Reply

      아마도 구글 글래스 같은 타입을 말씀하신 듯 싶네요. 사실 정보형 디스플레이와 미디어형 디스플레이는 조금 다른 관점에 있는 제품이라서 같은 경험으로 접근하기는 어렵습니다만, 정보형 디스플레이도 좀더 가볍고 쉽게 쓸 수 있도록 개선되고 있으니 기다려보면 언젠가 일상에서 쓸 수 있게 될 것 같네요. ^^

  2. 제독
    2013년 12월 13일
    Reply

    이번 허큘러스와 애플의 이야기가 생각나네요. 안경 쓴 사람들을 위해 망막을 통한 초점 보정으로 안경 안쓰고도 안경 쓴 것처럼 잘 보여줄 수 있게 하는 기술로 특허 싸움을 벌여 애플이 이겼던데, 소니가 진작 이런 기술을 적용했다면 HMD를 구매했을지도 모르겠네요. 안경을 쓰고 HMD를 본다는 건 제가 보기엔 의미가 없는 행동 같아서;

    • 칫솔
      2013년 12월 25일
      Reply

      동감입니다. 정말 초점 문제는 심각한데 개선이 되질 않네요. ㅜ.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