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쯤에 소니는 아주 흥미로운 결정을 내린다. 바이오의 색깔을 바꾼 것이다. 이게 무슨 대수냐 할 수도 있지만, 오랫동안 소니 바이오를 지켜봤던 이들에게 이것은 하나의 사건과도 같은 일이다. 소니 바이오에서만 볼 수 있던 푸르스름하고 은은한 자주빛(Violet) 대신 검정을 덧입힌 바이오는 바이오 마니아들에겐 바이오가 아닌 것 같은 낯선 기분을 들게 하기엔 충분했으니까.
이때 소니가 전통적인 색깔을 포기하면서까지 바이오의 이미지를 바꿔야 했던 것은 바이오 PC를 내놓은 1996년 이후 가장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었기에 분위기 전환이 필요한 때문이었다. 당시 상황은 지금처럼 PC 산업 자체가 퇴보하는 게 아니라 계속 성장하고 있던 시기였던 터라 산업적인 문제로 떠넘길 수 있는 게 아니었다. 단지 소니가 많은 투자에도 불구하고 이전 히트작들이 쌓아놓은 명성을 꾸준하게 이어가지 못하면서 점점 떨어지는 매출과 모든 라인업의 전략적 판단 오류로 생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돌파구를 찾아야만 하는 시점이었다.
그 이후 소니는 2008년에 한번 더 브랜드 이미지를 더욱 고급화하는 전략을 공표한다. 그 이전까지 video audio integrated operation의 의미로 써온 VAIO를 video audio intelligent organizer로 바꾼 것이다. 종전 바이오는 비즈니스 중심의 노트북 세계에서 비디오와 오디오를 즐기는 강화된 하드웨어의 노트북을 지칭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이 브랜드 전략 이후는 비디오와 오디오를 즐기려는 이용자의 경험을 발전시켜 줄 더 똑똑해진 소프트웨어와 기능성을 갖겠다는 의미로 확대한 것이다.
그런데 소니가 세계 여러 나라에서 바이오 브랜드의 제품을 팔고 있지만, 언제나 PC 업계 순위권에서 조금 멀어져 있던 이유는 브랜드 파워에 맞는 전략을 제대로 쓰지 못한 탓이 크다. 무엇보다 지난 몇 년 동안 바이오의 제품군을 보면 다른 PC 업체와 마찬가지로 모든 PC 구매자를 대상으로 삼은 너무 광범위한 제품군을 내놓았는데, 이것이 오히려 바이오 브랜드의 위상을 끌어내리는 역효과가 난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바이오는 관리를 받아야 하는 고급 브랜드였지만, 흔하게 볼 수 있는 바이오는 그리 달라보이지 않았으니 말이다.
결국 제2의 소니 쇼크를 맞이한 지금 소니는 바이오를 관장하던 PC사업부를 일본산업파트너스(JIP)에 매각한다고 지난 5일 발표했다. 성장은 어렵고 수익률이 떨어지는 현재 상태로는 지난 18년 가까이 길러 낸 정만으로 브랜드를 쥐고 있기란 정말 버거웠을 것이다. 물론 바이오 브랜드는 JIP를 통해서 살아 남을 것(?)이다. 그렇지만 소니 시절의 바이오처럼 수많은 혁신을 앞으로도 계속 볼 수 있을 것인지 알 수 없다. 아니, 소니가 아니라면 아마 예전 같은 혁신은 더 이상 만나기 힘들 것이라 마음을 정리하는 쪽이 더 편한 듯하다. 그러니 이제는 떠나는 바이오를 향해 조용히 손을 흔들어 주련다. 바이 바이, 바이오~(Bye Bye, VAIO)
Be First to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