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가 윈도우8을 발표하기 며칠 전 wmpoweruser에 이런 글이 떴습니다. 삼성이 2012년까지만 윈도폰을 내놓는다는 소문이 돈다는 글이었지요.
http://wmpoweruser.com/samsung-rumoured-to-be-stepping-away-from-windows-phone-7/
소문을 정리한 것이므로 가볍게 무시할 수도 있지만, 윈도우8과 관련해 2012년의 모바일 단말기 환경을 예상해보면 전혀 근거가 없다고 단정짓기 어려운 점도 몇 가지 있기는 합니다. 가볍게 2012년의 윈도우8과 윈도폰 생태계에 대한 전망을 날려봅니다.
윈도폰7을 만들지 않는다는 의미는…?
윈도폰을 만들지 않는다는 소문에 대해선 몇 가지 해석이 있긴 합니다. 그냥 로드맵을 아직 확정하지 않았거나 실제로 윈도폰 사업에서 손을 떼는 것, 윈도폰7 이후의 로드맵에 대한 준비, 윈도폰을 대신할 다른 운영체제를 쓰는 것 등이지요. 모든 플랫폼의 하드웨어를 공급하는 삼성의 문어발식 사업 전략상 손을 완전히 떼는 것은 생각하기 어렵습니다만, 좀더 가능성 있는 생태계로 이전은 예상해 볼 수 있겠지요. 그렇다면 다음 윈도폰 OS에 대비하거나 그렇지 않다면 윈도우8 폰을 내놓을 가능성도 있긴 합니다.
다음 윈도폰 OS?
아직 예측하기 어렵습니다만, 현재 윈도우8 커널 기반의 OS가 될 것이라는 이야기는 확인했습니다. 망고 이후 마이너 업그레이드인 탱고 이후 버전에 대한 소식은 감감하지만, 2012년 이후에 볼 가능성은 배제 못합니다.
윈도우 8이라면?
혹시 윈도우8이 아닐까 하는 그런 가능성도 없지는 않습니다. 일단 빌드 행사에서 봤듯이 윈도우8을 실행했던 쿼드코어 ARM을 쓴 스마트폰은 예정대로라면 올해 말에 볼 수 있기 때문에 프로세서의 제약은 없습니다. 하지만 다른 제약이 있어서 불가능할 것입니다.
그래도 무리를 한다면…?
윈도우8 스마트폰은 불가능하다?
아마도 윈도우8 스마트폰은 내년에는 불가능할 것 같습니다. 화면, 저장 공간의 제약도 있고 윈도우8에는 스마트폰에 불필요한 기능도 있기 때문이지요. 이를 테면 데스크탑 모드 같은 것이 그런 것 중 하나입니다. 더불어 MS 윈도우 사업부의 스티븐 시납스키 사장이 윈도우8에서 만든 메트로앱을 윈도우폰에서도 실행할 수 있도록 호환성을 유지한다고 말한 점과 애저 플랫폼을 통해 윈도폰과 윈도우8이 서로 연동되는 점 등을 고려하면 아무래도 윈도우8을 스마트폰에 탑재하는 것을 MS는 고려하지 않겠지요. 더구나 윈도우8과 윈도폰의 라이선스나 지원 전략이 달라 하나의 운영체제 만으로 여러 장치에 한꺼번에 적용하는 것은 쉽지는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하드웨어의 제약이 더 이상 의미가 없어지고, 장치간의 경계가 옅어지는 때가 오면 이원화된 윈도우 전략도 다시 살펴보겠지요. 아마 그리 먼 미래는 아닐겁니다. 윈도우8을 보면 그렇게 멀어보이지는 않는 듯한 느낌이거든요. ^^
과연 윈도우 폰 7과 윈도우 8의 미래는… 재밌게 보고 갑니다.
결국 일란성 쌍둥이가 되지 않겠습니까~ 고맙습니다. ^^
역설적으로 탈 MS화가 되어갈수록(다르게 말하면 웹표준을 지킬수록)
MS의 시장이 더욱 활성화 될 가능성이 모바일에는 존재한다는게 웃기기도 하네요 ㅋ
예전에도 그랬지만 들고다닐수 있는 납득가능한 수준의 성능을 지닌
x86 / intel / windows 시스템을 꿈꿔왔는데 win8 이 만약 UMPC 보다 더욱 작은 폼팩터의
SSD 기반의 초미니 포터블 MID 쪽으로 밀어붙인다면 이런 꿈이 실현될지도 모르겠네요
PMP 크기의 장치에서 x86의 프로세서 파워를 살릴 운영체제가 여전히 아쉬운 터라.. 프로세서 파워가 더 나아지던가 운영체제가 더 가벼워지던가 해야 하는데 그 조율이 쉽지 않지요. 아무튼 미래는 모르니 기다려봐야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