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편된 질서의 직격탄 맞은 스마트폰 시장 돌아보기

LG전자가 스마트폰 사업을 접었다. 휴대폰 시절을 거쳐 스마트폰 시대로 넘어 온, 수십년 동안 익히 잘 알려진 이동통신 장치 제조사의 이탈은 그 자체로 적잖은 충격을 던졌다. 하지만 LG 스마트폰의 사업 철수는 지금 스마트폰 시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지각 변동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기도 하다. 휴대 전화 분야에서 스마트폰으로 넘어오며 강자로 인식되어 왔던 전통적인 이통통신장치 제조사에 닥친 위기는 비단 LG전자만 겪은 일이 아니었지만, 위기의 공통점은 스마트폰의 특수성을 헤아리지 못함과 아울러 시장의 흐름을 읽지 못한 것에 기인한다. 때문에 LG 스마트폰 철수는 단순히 한 제조사의 사업 철수 문제가 아니라 현재 흔들리는 스마트폰 시장의 지형과 새로운 질서에서 그 이유를 해석해 봐야 할 문제다.

스마트폰 운영체제 지형도
LG 스마트폰 철수의 영향을 이야기하기에 앞서 현재 스마트폰 운영체제의 지형도를 볼 필요가 있다. 운영체제는 스마트폰을 다루는 데 필요한 기본 체계지만, 운영체제를 중심으로 앱 개발 및 배포를 하는 만큼 각 스마트폰 생태계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다.

아마도 대부분은 오늘 날 iOS와 안드로이드라는 두 가지 운영체제로 스마트폰이 고착화되어 있다고 여길 것이다. 멀리서 보면 결코 잘못된 구분은 아니다. 스마트폰이 처음 도입될 시절 윈도 모바일을 비롯해 웹OS, 타이젠, 파이어폭스, 리눅스 등 무수한 운영체제가 스마트폰 시장에 뛰어 들었으나 결국 선택할 수 있는 운영체제는 사실 이 두 가지를 제외하고 대부분 사라졌다.

2020년 3월부터 2021년 3월까지 스마트폰 운영체제 시장 점유율 추이(이미지 출처 : Statcounter)

그런데, 두 운영체제도 사실 규모의 차이가 있다. iOS와 안드로이드의 시장 점유율이 이를 보여준다. 스탯카운터에 따르면 2021년 3월까지 IOS의 점유율은 27.43%, 안드로이드는 무려 71.81%나 차지한다. 그 밖의 운영체제는 고작 0.5% 조금 넘는 점유율이라서 특정 시장을 제외하면 사실상 무의미한 상황이다.

이처럼 안드로이드가 스마트폰 시장의 지배권을 가져간 것처럼 보이지만, 그 안을 들여다보면 사정이 다르다. 안드로이드는 여러 파편 생태계가 존재한다. 이는 안드로이드 버전별 파편을 의미하는 게 아니라,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기반으로 하는 독자 생태계를 의미한다.

안드로이드 지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구글 중심의 안드로이드와 AOSP(Android Open source Project) 기반의 독자 생태계다. 안드로이드 자체는 오픈 소스이므로 둘다 기본적으로 안드로이드 소스는 동일하다. 하지만 안드로이드를 이용하는 서비스 체계를 비롯해 앱 개발 및 배포에서 다르다. 즉, AOSP 계열은 구글의 영향권에서 벗어난 독자 생태계로 시장에 따라 그 구분이 명확해졌다.

두 개의 안드로이드 생태계
안드로이드가 처음부터 구글과 AOSP 생태계로 나뉘어진 것은 아니다. 안드로이드는 초기 구글을 중심으로 제조사와 이통사의 연합체를 공고히 하는 중요한 매개였다. 아이폰을 앞세워 갑작스럽게 스마트폰 시장의 영향력이 커진 애플에 대항하고 스마트폰 시재의 지배력을 유지하기 위한 몸부림 끝에 구글, 이통사, 제조사가 OHA(Open Handset Alliance)를 구축하고 안드로이드 중심의 제품 개발과 보급, 앱 개발과 유통에 나섰다.

이처럼 초기 안드로이드 시장에서 구글은 안드로이드를 무료로 제공하는 동시에 서비스를 통한 통제를 강화했다. GMS라 부르는 구글 모바일 서비스(Google Mobile Service) 인증이 그 예다. GMS는 구글의 G메일, 구글 검색, 구글 지도, 안드로이드 마켓(현 구글 플레이 스토어), 유튜브, 크롬 브라우저 등 구글이 제공하는 서비스와 앱을 탑재하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 구글의 인증을 받도록 한 조치다. 즉, 구글의 인증을 받지 않은 안드로이드 장치에 대해서 원론적으로 이러한 앱이나 서비스를 쓰는 데 제약을 뒀던 것이다.

GMS 인증은 안드로이드 OS를 보급하기 시작한 시점까지는 별 문제는 없었다. 하지만, 한 가지 보이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구글이 정상적으로 서비스할 수 없게 되면 GMS를 기반으로 한 생태계를 뿌리내릴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런 우려가 현실로 일어날 것이라고 생각한 사람은 거의 없었으나 초거대 시장이었던 중국에서 현실이 됐다.
중국과 구글의 불편한 관계는 검색 시장에서 끝나질 않았다. 구글이 2010년 Google.cn에서 검열되지 않은 검색 결과를 노출할 것이라고 공개적으로 선언한 이후, 정보를 통제하려는 중국 정부와 마찰은 결국 구글 외에 페이스북, 트위터, 유튜브의 차단으로 이어졌다. 하지만 중국 정부는 곧바로 구글 GMS 기반의 안드로이드를 차단하지 않았고, 중국 내에서도 안드로이드 마켓을 제외한 일부 GMS 서비스를 이용자의 의지에 따라 설치되어 쓸 수 있었다.

2020년 4분기까지 중국 스마트폰 점유율 순위(이미지 출처 : Counterpoint Research)

구글 GMS의 핵심 서비스인 G메일과 구글 지도, 구글 학술 검색 같은 서비스와 앱을 차단한 것은 2014년 중반이었다. 구글 GMS와 관련된 핵심 서비스의 차단은 결과적으로 구글 중심의 안드로이드 생태계가 중국에서 더 이상 확장될 수 없고, 완전히 퇴출된다는 의미였다. 구글 기반 안드로이드 생태계에서 역할을 맡았던 세계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거대 시장을 잃게 된 셈이다. 실제 삼성전자의 중국 내 점유율 변화를 보면, 2013년까지 무려 19.7%를 차지했으나, GMS 차단 조치 이후 2014년 13.8%, 2015년 7.6%로 떨어진 데 이어 2017년 0.8%로 곤두박질 친다.

하지만, 중국 스마트폰 시장은 정체되지도 않았고 독자적 생태계를 구축하며 성장한다. 샤오미, 비보, 오포, 화웨이 등 여러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는 AOSP를 기반으로 만든 독자적 운영체제를 탑재한 값싼 스마트폰을 출시하고, 텐센트, 알리바바 등 IT 기업들이 GMS를 대체하는 앱/서비스 개발 및 배포에 나서면서 거대 내수를 기반으로 하는 안드로이드 생태계를 구축해 나갔다. 이로 인해 현재 중국의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점유율은 모두 중국 제조사가 차지한 상황에 이르렀다.

‘규모의 경제’라는 반사이익을 누리게 된 중국 벤더들
iOS를 중심으로 하는 애플 생태계를 제외하고 안드로이드는 이처럼 두 개의 거대 진영으로 갈릴 만큼 보이지 않는 전쟁을 치러 온 상황이다. 단순히 경제 논리만으로 볼 수 없는 진영 논리가 작용해도 이상하지 않은 그림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거대 진영으로 나뉘어 있다고 해도 수적 차이는 분명하다. IDC나 가트너, 스태티스타 등 세계적인 시장 조사 기관이 내놓은 2020년 전체 스마트폰 출하량은 13억4천만 대 안팎이다. 이 가운데 중국에 출하되는 스마트폰 수는 조사 기관마다 차이는 있으나 대략 3억2천600만 대쯤이다. iOS와 안드로이드를 모두 합한 것으로 애플 아이폰이 3천600만 대 정도 공급된 것으로 추정하면 중국 독자적 스마트폰 생태계 규모는 2억9천만 대로 짐작할 수 있다. 코로나19로 출하량이 줄어든 2020년을 기준으로 볼 때 북미나 인도보다 거의 2배 이상 많은 출하량을 기록한 곳이 바로 중국 시장인 것이다.

이러한 시장 규모의 차이는 중국 내 제조사를 제품 개발의 유리한 입지로 올려 놓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해 왔다. 제품 생산에 필요한 부품의 단가나 공급 시기에 있어 더 많은 판매량과 채널을 가진 제조사에게 유리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중국 이용자의 소비력을 앞세워 규모의 경제를 구현할 수 있게 된 중국 제조사들에 다른 제조사들이 영향을 받으면서 협상의 우선 순위에 철저히 밀릴 수밖에 없는 것이다. 실제 퀄컴은 최근 몇년 동안 자사의 플래그십 스마트폰용 스냅드래곤 프로세서를 발표할 때마다 삼성이나 LG가 아닌 샤오미를 기조 연설 파트너로 선정했고, 1순위로 공급하는 대부분의 제조사를 중국 업체로 채웠다.

이처럼 중국 제조사 중심의 공급 정책이 변화하면서 LG전자나 소니를 비롯한 그 밖의 중소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대부분 타격을 받게 된다. 삼성전자나 화웨이처럼 자체적으로 스마트폰용 프로세서와 반도체를 개발하고 생산하는 제조사들은 별개의 협상력을 확보했지만, 다른 공급 채널이 없는 제조사들은 부품 공급사의 일정에 따라야 하는 불리한 상황에서 신제품을 늦게 시장에 출시할 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마저 잃는 악순환의 고리에 빠지게 됐다.

이로 인해 현재 중국 제조사가 판매량 상위에 올라 있다. 출하량 기준으로 보면 삼성과 애플이 1위와 2위를 다투는 양상이지만, 그 뒤를 화웨이, 샤오미, 비보, 오포 등 중국 제조사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삼성과 애플을 합쳐 약 4억 5천만 대를 출하했으나 중국 제조사의 출하량을 합하면 이에 미치지 못하는데, 스마트폰 출하량 전쟁에서 중국은 이미 세계를 지배하고 있는 셈이다.

화웨이의 비상과 추락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독자적으로 구축된 중국 안드로이드 생태계를 기반으로 성장하면서 포화된 내수 시장을 벗어날 기회를 찾게 된다. 초기 싼 가격에 비해 좋은 성능으로 내수 시장을 다진 이후 품질을 높이는 동시에 국외로 나가기 위해 그 이전까지 무시했던 로열티 문제에도 적극 나서기 시작했다. 또한 중국 이외의 지역에서 강력한 지배력을 가진 구글과 협력해 GMS를 탑재한 스마트폰을 공급했다.

그런데, 다른 제조사와 달리 중국 내수 시장보다 먼저 외국 진출을 서둘렀다. 이동통신장비를 개발해 온 화웨이다. 화웨이는 망 장비부터 클라우드, 소비자 장치에 이르는 엔드투엔드 전략을 세운 이후 세계에 내놓을 만한 스마트폰 개발에 속도를 냈다. 저가격 저품질이었던 중국 스마트폰의 이미지를 버리고 비싸더라도 고품질의 제품을 내놓는 제조사로 접근했다.

특히 화웨이는 유럽 지역에 엄청난 물량 공세를 퍼부었다. 유럽에서 열리는 대형 IT 전시회에서 대규모 취재진을 초청해 제품을 발표하는 한편, 유럽의 유명 축구 클럽을 활용한 스포츠 마케팅도 적극적으로 실행했다. 브랜드 이미지가 바뀌고 중급형 제품에 대한 구매 수요도 증가하면서 화웨이는 아너(Honor)라는 독립 브랜드를 운영했다. 이러한 물량 투입에 따라 화웨이는 중국 내수 및 유럽에서 판매량이 급격히 증가했고, 2019년부터 애플이나 삼성과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 순위를 다투는 스마트폰 제조사가 됐다. 미국에 스마트폰을 출시하지 않았음에도 세계 스마트폰 순위권에 오른 것이다.

2020년 4분기 스마트폰 출하량에서 5위로 순위가 내려 앉은 화웨이(이미지 출처 : Gartner)

화웨이가 스마트폰 출하량 톱3에 오른 것은 다른 중국 제조사와 다른 점이 있다. 대부분의 중국 제조사가 퀄컴 같은 미국 기업의 부품을 도입하는 반면 화웨이는 줄곧 자체 프로세서와 모뎀을 이용했다. 즉, 화웨이는 독자적인 핵심 부품을 기반으로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 톱3에 오른 것이었으므로 각 이해 당사자에 따라 이를 해석하는 차이가 매우 달랐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화웨이에게 더 이상 화려한 시절이 허락되지 않았다. 트럼프 행정부 시절 화웨이 장비를 이용한 스파이 혐의로 인해 미국 상무부의 거래허가목록에 등재되면서 미국 IT 기업의 협력을 받을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 이는 단순히 미국 IT 기업의 서비스나 제품을 이용할 수 없는 것을 넘어 미국의 특허 자산이 포함된 기술을 적용한 장비에서 생산한 부품도 쓸 수 없는 아주 강력한 조치들이 지난 해 말까지 이어졌다. 때문에 화웨이는 신형 스마트폰 제조에 필요한 부품을 공급받을 수 없게 됐고, 소프트웨어 지원도 끊어졌다.

이로 인해 화웨이는 내수 시장에 더욱 집중했고, 자국 시장 점유율을 높이는 데 공을 들였다. 구글과 협력이 차단되어 더 이상 유럽 지역에 GMS를 탑재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출시할 수 없게 되자, 자체 운영체제와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탑재한 제품도 내놓았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 결과 2020년 화웨이의 중국내 출하량은 1억2천490만대로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부품을 공급받을 수 없는 강력한 조치들이 이어지자 중저가 브랜드인 아너의 개발과 생산 조직을 중국 선전의 유통 컨소시엄에 매각했다. 고급 스마트폰 브랜드는 그대로 유지하고 새로운 스마트폰을 출시하는 등 노력하고 있으나, 생태계를 구축하지 못한 상황이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결국 화웨이는 2021년 1분기 세계 스마트폰 점유율 및 중국 시장에서 모두 하락한 상황이다.

LG 전자와 소니의 상반된 결과
스마트폰의 핵심 부품과 관련된 공급망 정책이 시장 규모에 따라 변화한 이후, 직접 타격을 받게 된 대표적인 제조사가 LG전자와 소니다. 하지만, 두 제조사의 현재 모습은 완전히 다르다. LG전자는 더 이상 스마트폰 제조사라고 부를 수 없게 된 반면, 소니는 매각 없이 스마트폰 사업부의 적자 시대를 끝냈다.

이 둘의 현재 모습을 바꿔 놓은 것은 무엇일까? 이에 대해 여러 원인을 추정하고 있지만, 적어도 둘 중 한 곳은 정확하게 스마트폰 시장의 지각 변동 속에서 자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장기적인 전략으로 체질을 바꿨다고 볼 수 있다. 그런 모범 사례의 주인공은 바로 소니다.

LG전자는 지난 몇 년 동안 스마트폰 전략을 거의 바꾸지 않았다. 한 때 삼성전자와 국내 점유율을 놓고 순위를 다투기도 했지만, 스마트폰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명확해지는 시점에서 하드웨어의 성능과 소프트웨어 안정성, 선호 기능, 앞서 가는 만듦새, 시장 변화에 따른 가격 등 소비자의 눈높이를 맞추지 못했다. 무엇보다 LG의 스마트폰 전략은 플래그십부터 중저가 라인을 모두 아울렀을 뿐만 아니라, 중국을 제외하고 기존의 판매 채널에서 제품을 출시함으로써 발생하는 복잡해진 제품 및 품질 관리와 판매량 저하에 따른 재고 문제 등 많은 고질병을 안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5조원의 적자를 기록하는 동안 일부 공장의 이전을 제외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눈에 띄는 시도는 없었다.

소니가 2021년 발표한 엑스페리아 1 마크 3.(이미지 출처 : 소니)

반면, 2011년 에릭슨과 관계를 정리한 소니는 세계 금융 위기부터 이어진 그룹의 존립 위기에도 모바일 부문을 유지했다. 다만, 소니도 2018년 모바일 사업부의 적자가 이어지자 대대적인 사업 축소를 결정했다. 소니 스마트폰의 판매가 부진한 시장에서 사업부 및 중국 제조 공장까지 2019년까지 모두 철수했고, 인력을 감축하는 한편, 모든 제품을 재검토해 중저가 라인을 취소했다.

이러한 결정과 함께 소니는 자사의 이미지 센서 및 광학 체계와 처리 기술, 방송 장비급 디스플레이를 최대한 활용하는 중고급 라인으로 재편하고 1년에 2~3개 모델만 소량 생산해 일본과 미국 등 일부 시장만 공급했다. 그 결과 소니는 2020년 4분기에 흑자로 전환했다. 해당 분기의 스마트폰 출하량은 80만대에 불과했고, 매출은 1조1천억 원에 불과했지만, 2천200억 원의 영업 이익을 기록했다. 소니 기술을 이해하는 집토끼를 잡고 재고를 철저하게 관리하는 전략으로 규모의 경제를 지향하는 전쟁을 피해 나름의 영역을 구축하고 있다.

소니가 보여준 집토끼 전략의 사례는 픽셀 시리즈를 출시하는 구글과 서피스 듀오를 통해 이제 막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사업을 시작한 마이크로소프트도 동일하게 쓰고 있다. 이들 제품은 정확한 타겟을 정하고 그 목적에 맞는 성능과 기능을 가진 스마트폰을 공급해 적자 없이 안정적인 사업 구조를 만드는 중이다. 비록 중국 제조사보다 앞서 만들지 않고 더 강력한 성능도 아닌 데다 값이 싼 것이 아니지만, 이들 제품은 LG전자와 다른 결론을 향해 나아가는 중이다.

향후 전망 | 암묵적 대립 관계에서 만들게 될 새로운 질서
LG전자의 스마트폰 사업이 7월 말 종료되면, 전체 생태계의 지형은 소폭 변화를 예상해 볼 수 있다. 아마도 그 영향은 애플이 구축한 아이폰 생태계보다 LG가 뿌리를 내리고 있던 안드로이드 생태계의 지형에서 영향을 분석해야 하는데, 앞서 안드로이드 지형 생태계에 대해 미리 설명한 이유와 연관된 부분이다.

일단, 3% 안팎의 세계 시장 점유율을 갖고 있던 것으로 알려진 LG의 자리는 곧 다른 제조사들로 채워질 것이므로 점유율의 변화는 눈에 띄게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대신 제조 부문에서 LG전자의 여파는 일부 나타날 듯하다. LG전자가 스마트폰 제조를 중단하면 그동안 공급했던 디스플레이와 프로세서, 메모리, 배터리 등 핵심 부품들이 새로운 수요처를 찾아야 하는 만큼 일시적으로 부품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서다. 그나마 코로나19의 영향으로 IT 장치 수요가 늘고 있는 상황이라 제조사들의 공급가에 미치는 영향은 단기적으로 끝날 것으로 예측된다. 다만, 고급 스마트폰을 만드는 화웨이가 스마트폰 사업을 중단할 경우, 부품 시장에 미치는 여파는 지금 LG 스마트폰보다는 확실하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제조 및 부품 공급 관점에서 일반적인 안드로이드 진영 관점으로 돌아가 보면 조금 난감한 문제가 하나 있다. 비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가 사라진다는 점이다. 물론 스마트폰 제조사를 중국과 그 이외의 제조사 같은 이분법으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 맞지만, LG 스마트폰의 철수는 중국 브랜드 스마트폰으로 인한 위협 같은 불안감을 증폭시킨다.

그 이유는 스마트폰의 특수성에 있다. 스마트폰은 단순히 통화를 위한 장치가 아니라 데이터를 수집 처리하는 컴퓨팅 장치이자, 개인 정보를 담는 디지털 지갑이다. 따라서 성능이 좋은 제품이나 가격 대비 성능비를 좇는 것 이상으로 소비자들은 제품 제조사의 신뢰도를 함께 따진다. 특히 이용자는 데이터 보호와 전송 등 관련된 여러 정책과 조치들이 얼마나 투명한지 민감하게 따져 신뢰의 벨트를 구축한다.

아직까지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가 데이터 보호와 관리 측면에 있어 크게 지적될 만한 점은 없다. 하지만, 지난 몇년 동안 이어진 미국과 중국의 무역 분쟁, 인도와 중국의 국경 분쟁으로 인한 IT 부문의 보복전은 해당 정보를 접하는 이용자들에게 중국 제조사의 스마트폰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누적시키는 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구체적인 혐의가 없음에도 중국 스마트폰과 IT 서비스를 위협 요소로 인식시키면서 이용자 데이터와 관련된 여러 우려가 점점 누적되어 오면서 이를 경계하는 인식도 커진 것이다.

이러한 인식이 쌓이면서 스마트폰을 정착시키지 못하고 있는 국가 가운데 한 곳이 우리나라다. 화웨이와 샤오미, 레노버 등 여러 중국 브랜드가 한국에 스마트폰을 출시했지만, 성공한 사례를 거의 찾기 힘들 정도다. 워낙 자국 브랜드가 강하다는 평가를 받기는 하나, 좋은 성능과 눈길 가는 가격을 가진 제품을 내놓아도 의미 있는 점유율을 만들지 못하는 것은 결국 인식을 바꾸지 못하는 다른 이유가 작용한다는 이야기다.

결과적으로 2020년 기준 13%의 국내 점유율을 가진 LG 전자가 이탈한 시장에서 국내 소비자들에게 선택지만 사라졌다는 것이다. LG의 자리를 대체할 제3의 스마트폰이 사실상 없는 셈이다. 샤오미가 중저가 시장 자급제 시장의 문을 계속 두드려 왔으나 일반 이용자의 선택을 쉽게 받지 못하는 것도 충분히 설득하지 못했다는 의미다. 이미 독보적인 점유율을 갖고 있는 삼성과 애플에 대한 쏠림이 커질 수밖에 없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안드로이드 진영이 분화하는 과정을 가까이서 지켜보면서 데이터에 대한 믿음을 주는 제조사에 집착하는 게 너무도 당연했던 국내 이용자들에게 안심 옵션이던 LG의 철수는 그래서 불안을 느끼게 만들고 있다. 때문에 LG의 스마트폰 철수는 국내를 벗어나 전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지형을 돌아보고,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의 성장과 확장에 대해 고찰하는 동시에, 데이터를 다루는 스마트폰에서 신뢰의 이미지가 얼마나 중요한 가치인지 되새기는 계기가 될 것은 분명하다.

이런 상황이 오래 지속될 수록 반사 이익을 가져가게 될 곳은 가격 대비 성능이나 기능의 제품이 아니다. 이용자의 데이터를 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제품의 메시지를 담는 제조사일 것이다. 이르면 올해부터 운전면허증이나 여권 같은 공식 신분증을 스마트폰에 저장하는 시대가 시작되면 더욱 그렇다. 구글이 안드로이드 레디 SE(Android Ready SE) 같은 디지털 금고 이니셔티브를 발족하고, 마이크로소프트가 보안 부문의 인클로저를 강화하는 조치도 이에 대비한 것들이다.

때문에 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처럼 확실한 데이터 보안 관련 메시지를 가진 기업들을 중심으로 연대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질 것이다. 이는 정책 당국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므로 지금까지 구축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진영 논리는 앞으로 사라지는 게 아니라 오히려 국가 정책의 이해에 따라 더욱 분리적으로 갈 가능성을 배제하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참조 문서

1. Gartner Says Worldwide Smartphone Sales Declined 5% in Fourth Quarter of 2020 – Gartner
2. Total number of smartphone shipments in China from 2012 to 2020 – Statista
3. China smartphone shipments more than doubled in Q1 2021 – China Internet Watch
4. Mobile Operating System Market Share Worldwide – Statcounter
5. How Google took on China and lost – MIT Technology Review

덧붙임 #

1. 이 글은 KISA 리포트 2021.04에 기고한 것으로 편집본은 KISA 리포트 자료실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은 편집본과 일부 내용이 다를 수 있습니다.

2. 이 글은 2021년 5월 7일에 이 사이트에 공개되었습니다.

PHIL CHiTSOL CHOI Written by:

Be First to Comment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