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가미의 불협화음과 경쟁자들의 압박
UMPC의 대안을 모색할 시점
인텔이 처음 울트라 모바일 플랫폼 2006을 발표했을 때 아주 세세한 부분까지 그 규격을 정했다. 이를테면 화면 크기나 무게, 무선 랜과 블루투스, 배터리 시간과 확장 슬롯의 개수까지도 다 정해놓았다. 운영체제 역시 두말하면 잔소리다. 윈도 XP와 태블릿 에디션, 리눅스를 쓸 것을 권장했다. 하지만 지금까지 나온 모든 UMPC는 모두 MS의 ‘오리가미’ 프로젝트를 거치면서 단촐한 메뉴와 키 입력 옵션이 더해진 ‘윈도 XP 태블릿 에디션’을 쓰고 있다.
그 이유를 알려면 2006년 UMPC가 처음 등장할 때로 돌아가야 한다. UMPC를 소개하기 위해 세빗 무대 위에 오른 것은 인텔과 마이크로소프트, 삼성전자였다. 하드웨어 플랫폼은 인텔이 공급했지만, 제조는 삼성이 했고, 그 운영체제는 오리가미 프로젝트를 통해 마이크로소프트가 만든 것이다. 그 때 이미 오리가미는 UMPC와 별개의 것이 아니라 동급의 대명사가 되었고, 윈도가 없는 UMPC는 있을 수 없는 일이 된 것이다.
인텔 울트라 모바일 플랫폼 2006과 오리가미를 결합한 것을 UMPC라고 하다 보니 인텔도 적잖은 고민을 해야만 했다. 윈도가 UMPC를 다루기 위한 운영체제인 것은 인정하면서도 그 운영체제를 채택함으로써 드는 비용만큼 완성된 UMPC가 획일화 되는 것을 걱정한 것이다. 값이 비싼 만큼 UMPC를 선택하려는 이들 마저 줄어드는 것은 당연한 결과다.
인텔이 UMPC의 가격 문제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다. 초소형 모바일 PC 시장에서는 절대 강자가 아닌 탓이다. 인텔이 UMPC로 초반 분위기를 잡기는 했지만, 실제로 나오고 있는 초소형 PC에는 비아(VIA) C7 CPU나 AMD의 지오드 LX CPU가 들어 있는 데다 오리가미 대신 윈도 XP만을 넣어 값싸게 팔고 있다. 인텔 입장에서는 운영체제가 어떻든지 간에 자기들이 만든 울트라 모바일 플랫폼이 더 많이 쓰이기를 바랄 뿐이다. 하지만 이미 울트라 모바일 플랫폼과 오리가미가 동격으로 취급되는 현실에서는 문제 해결이 쉽지 않은 것이다.
2010년까지 1천만대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UMPC 시장에서 경쟁자들의 압박과 오리가미의 불협화음 탓에 인텔이 주도권을 잡는 게 쉽지는 않은 상황을 뚫기 위해 울트라 모바일 플랫폼을 확장할 수 있는 새로운 시도를 모색하고 있는 것이다.
인텔, 리눅스를 끌어들이다
MID로 시간 장소 불문하고 인터넷에!
인텔은 종전의 UMPC 개념을 깨기보다는 그와 비슷하면서 약간 차별화된 모바일 장치 분야를 만드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새로운 하드웨어 플랫폼을 만든다기보다는 문제의 원인이라고 할 수 있는 운영체제와 하드웨어의 밑바닥 부분을 다루는 해법을 제시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이다.
종전의 UMPC가 윈도만 쓸 수밖에 없는 이유는 대안 운영체제가 없어서였다. 특히 가장 유력한 대안이라고 할 수 있는 리눅스를 쓰지 않음으로써 UMPC의 윈도 편중 현상은 더욱 심해졌다. 또한 윈도를 쓸 때 생기는 어려운 접근성도 문제였다. UMPC를 다루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을 찾아 수행하는 방식은 일반 이용자들의 접근을 어렵게 했다.
IDF 베이징 2007에서 인텔이 꺼내 놓은 해법은 리눅스다. 하지만 인텔은 결코 리눅스를 넣은 UMPC를 도마에 올리지 않고 MID라는 다른 컨셉의 모바일 장치를 소개했다. 이는 종전의 UMPC에는 그냥 윈도 체계를 쓰도록 놔두고, 리눅스를 기반으로 한 모바일 PC 분야를 새롭게 열겠다는 뜻을 담고 있다.
MID는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mobile internet device)다.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라는 뜻이다. UMPC가 업무와 엔터테인먼트를 결합했다면 MID는 업무보다는 인터넷에 접속해 e-메일을 살펴보거나 메신저를 하거나 웹 사이트를 검색하고 동영상과 음악, 사진 등을 보는 정도의 비교적 가벼운 성격을 가진 장치로 볼 수 있다. 파워포인트, 액셀 같은 업무용 애플리케이션을 다루지 못할 뿐이지 기본적인 것은 거의 같다.
인텔은 MID가 갖춰야 할 조건을 아주 구체적으로 밝힌 것은 아니다. 다만 전원을 끈 상태에서 20초 이내, 대기(standby) 시간에서 5초 이내(하이버네이션에서는 10초 이내)에 리눅스가 부팅되는 장치의 기본 구성에 대해서 설명을 했다. MID는 인텔 기반 CPU와 칩셋에 800×480, 또는 1,024×600으로 표시할 수 있는 4~6인치 디스플레이와 256MB 램에서 돌아가는 리눅스를 넣는다. 하드디스크 용량은 중요하지 않지만 운영체제와 각종 드라이버를 고려해 500MB의 공간은 필요하고, 무선 랜과 블루투스, 무선 WAN(HSDPA, Wibro 등), GPS와 모바일 TV, USB 등을 쓸 수 있다. 화면 크기와 램만 아니면 거의 UMPC와 비슷한 성격의 제원인 것을 알 수 있다.
경쟁 상대는 UMPC가 아니라 PMP?
PMP 시장 대체 가능할까?
세계 시장 조사 기관들은 2010년까지 UMPC 시장이 연간 1천만대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예상한 바 있다. UMPC 업체에게 있어 이 시장 전망은 그리 나쁜 편이 아니었다. 하지만 인텔이 IDF에서 예상한 MID 누적 판매치는 2010년까지 1억1천만 대다. 인텔은 종전의 UMPC보다 MID가 더 시장성을 갖게 될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 물론 이 추정치는 인텔의 희망사항이지만 내비게이션을 포함한 PMP 시장까지 확대해본다면 허황된 말도 아니다.
사실 인텔 MID의 성격은 UMPC보다는 PMP쪽에 가깝다. MID의 크기나 운영체제 등을 미뤄 볼 때 윈도를 쓰는 UMPC보다는 리눅스를 넣은 PMP쪽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IDF에서 공개한 MID의 시제품도 5인치 화면을 가진 작은 휴대 장치였다. 7인치 화면을 가진 아수스 R2H도 있었지만, R2H는 MID를 위한 홍기 리눅스가 제대로 돌아가는지 알려주는 시험판에 불과했다.
MID에는 PMP와 비슷한 재주가 들어 있다. 이용자가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찾아 실행하는 게 아니라 PMP처럼 쓸 수 있는 기능만 미리 정해놓은 것이다. 이용자는 아이콘을 눌러 그 재주를 고르기만 하면 된다. 오리가미를 쓰는 UMPC가 애플리케이션의 확장면에서는 개방형이지만, MID는 이용자나 제조업체가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준개방형으로 나오게 된다.
선택할 수 있는 기능 중에 멀티미디어는 PMP와 비슷하다. 하지만 인터넷을 포함하면 MID가 한 수 위다. PMP가 멀티미디어 위주라면 MID는 여기에 e-메일이나 메신저, 인터넷 검색등 인터넷 환경을 덧붙인 것이다. 그런데 값은 PMP와 비슷하거나 조금 비싸다. 지금 내비게이션이 되는 PMP 중에는 50만 원이 넘는 것도 많다. MID가 바라는 가격대와 비슷하다. PMP와 쓰는 방법마저 비슷해진다면, 재주는 더 많고 값이 싼 MID쪽이 유리해지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MID는 PMP가 지금까지 다져온 기틀을 흔들 수도 있다. AMD 알케미와 같은 미디어 프로세서를 쓰는 PMP의 처리 성능은 모자람이 없지만, 앞으로 꼭 필요한 컨텐츠를 즐기는 활용성만큼은 MID가 앞선다. PMP의 적수는 UMPC가 아니라 MID가 될지도 모를 일이다.
인터넷은 장점이자 단점
MID의 두 가지 약점
MID는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다.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하려면 폭넓은 연결성을 지녀야 한다. MID의 시장 목표는 2008년이지만, 인텔은 울트라 모바일 플랫폼 2007에 지금 서비스되는 네트워크 기술을 쓸 수 있도록 준비를 잘 갖춰 놓았다. 유무선 랜은 기본이고, HSDPA 같은 무선 WAN과 WiMAX 같은 차세대 무선 통신 인터넷도 옵션으로 쓸 수 있다.
하드웨어는 잘 갖췄지만, 이것만으로는 인터넷을 쓸 수 없다. 시간과 장소에 상관 없이 인터넷을 즐기려면 무선 랜이 되는 핫스팟 존을 찾아가기보다는 HSDPA같은 이동 통신망을 이용해야만 한다. 문제는 그 비용이다. 정액제인 인터넷에 물린 무선 인터넷은 공짜다 싶은 느낌이 들 정도로 비용을 더 지출할 이유가 없는 반면 HSDPA와 UMTS 등은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므로 인터넷을 쓸 때마다 요금이 붙는다. 그 요금이 나라마다 다르지만, 우리나라는 HSDPA 종량제 요금이 너무 비싸다는 지적이 많다. 1MB에 보통 160~180원 정도 들기 때문에 파일 전송은 물론 인터넷에 있는 동영상도 마음 놓고 보기 어렵다. 움직이면서 인터넷을 할 수 있지만, 소비자는 그만큼 많은 비용을 지출할 준비를 해야만 한다.
이동 통신 업체들에게 MID는 기회가 되겠지만, 지금 같은 요금 체계를 그대로 방치한다면 MID는 무선 랜이 되는 곳에서만 쓰는 반쪽짜리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해법은 인텔이 푸는 것이 아니라 MID 업체와 이동 통신사가 해결하는 것 이외에는 달리 방법이 없다.
또 다른 약점은 이제 겨우 시제품이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MID는 올해보다는 2008년을 목표로 준비되고 있다. 지금의 울트라 모바일 플랫폼 2007도 쓸 수 있지만, 장치를 작게 만드는 데에는 조금 버겁다. 1년이라는 시간을 더 기다리면 크기와 성능을 더욱 최적화할 수 있지만, 그만큼 소모비용이 많이 든다. 더 큰 문제는 1년만 기다리면 시장에서 먹힐 수 있는 운영체제와 하드웨어가 된다는 보장이 없다. 불안한 미래, 그것이 MID의 약점이다.
불만 많아도 속앓이 하던 마이크로소프트
인텔에 ‘플랫폼은 무의미’하다며 맞대응
최근 마이크로소프트의 빌게이츠 회장이 애뉴얼 CEO 서밋 강연에서 PC 소형화를 위한 플랫폼은 무의미하다고 밝힘에 따라 인텔과 선긋기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추측을 불러 일으켰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는 지난 5월 중순에 열린 윈도 하드웨어 엔지니어링 컨퍼런스(WinHEC)에서 자사가 기준으로 내세운 UMPC에 최적화된 운영 시스템인 오리가미 2.0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인텔의 울트라 모바일 플랫폼을 애써 멀리하려는 인상을 남기기도 했다. 특히 마이크로소프는 오리가미 2.0을 쓴 UMPC의 값을 MID와 비슷한 수준으로 맞추겠다고 밝혀 두 진영의 경쟁은 불가피해 보인다. 500달러 안팎을 겨냥한 MID처럼 UMPC도 500달러에 살 수 있도록 오리가미의 부담을 줄이겠다는 것. 마이크로소프트가 제안한 오리가미 2.0 하드웨어 제원은 5~7인치 화면과 1,024×600의 해상도, LED 백라이트, 18~20mm의 두께, 700g 이하의 무게, 와이맥스 또는 무선 WAN, QWERTY 키보드, 기본 1GB 램에 다이렉트 X 9 그래픽을 돌릴 정도면 된다고 한다. 배터리는 3~4시간 작동하면 된다.
마이크로소프트는 특정한 모바일 플랫폼에 연연하지 않고 오리가미를 돌릴 수 있는 기본 제원만 밝혔다. 종전 마이크로소프트의 UMPC 규격에서도 CPU 플랫폼을 밝히지는 않았으므로 큰 차이점가 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UMPC를 인텔과 함께 내놓았기 때문에 당연히 인텔 플랫폼에 최적화된 것이라고 이해했다. 하지만 MID를 내놓은 인텔은 두 제품의 성격을 리눅스와 윈도로 나눠 놓았고 이제는 마이크로소프트 역시 인텔 플랫폼 이외에 대안 플랫폼을 찾아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됐다.
마이크로소프트는 PC와 노트북, 서버 운영체제 시장에서는 강자지만, 초소형 모바일 PC 시장에서는 완전한 주도권을 잡은 상황이 아니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는 포터블 엔터테인먼트 운영체제 시장에서 한차례 쓴 맛을 본 전례가 있다. 휴대 엔터테인먼트 시장을 겨냥해 내놓았던 PMC(portable media center)가 리눅스 위에서 작동하는 PMP에 완전히 밀려 지금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시장 조사 기관들은 마이크로소프트의 브랜드 파워 덕분에 PMC가 리눅스 기반 PMP보다 더 많은 시장을 확보할 것이라고 내다봤으나, 호환성이 떨어진 PMC에 대한 하드웨어 업체의 외면과 마이크로소프트의 안일한 대응으로 결국 임베디드 리눅스에 자리를 빼앗기는 수모를 당했다.
때문에 초소형 모바일 PC 시장 초기인 지금 인텔 같은 대형 업체가 하드웨어 플랫폼을 넓히기 위해 전략적으로 리눅스를 민다면 마이크로소프트는 종전 PMC의 전철을 밟을 수도 있어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것이다. 초소형이기는 해도 PC라는 이유 때문에 윈도에 대한 요구 수요가 많아 다행이지만, 오리가미 역시 PMC처럼 업체의 요구를 제대로 받아들이지 못했다는 점에서 하드웨어 제조업체의 불만은 높아져 가고 있다. 오리가미 2.0이 그 불만을 얼마나 해결할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오리가미 2.0에 맞는 울트라 모바일 PC를 요구한다면 종전 PMC와 같은 길을 걸을지도 모를 일이다.
발 빠르게 기회 만드는 대만의 중소 업체들
MIDIA, UMPC와 독자 노선 달린다
인텔이 MID에 대한 제안을 내놓자 그동안 UMPC 진영 참여를 놓고 저울질하거나 이렇다 할 실적을 내지 못하던 UMPC 업체들이 일제히 MID쪽으로 마음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특히 대만과 중국 PC 업체들이 빠르게 움직였다. 컴팔, 아수스텍, 벤큐, HTC(high tech computer), 콴타 컴퓨터, 엘렉트로비트 등 대만과 중국 PC 업체들은 MIDIA(mobile internet device innovation alliance)라는 MID 협력 단체를 만들어 솔루션을 함께 개발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벤큐처럼 UMPC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 노트북 제조사들이 MIDIA에 참여한 것은 의미가 있다. 윈도를 쓰는 비즈니스 중심의 UMPC보다는 소형화된 장치에 맞는 기능을 줄이면서도 인터넷에 초점을 맞춰 활용 범위를 넓히고 값을 잡은 MID가 좀더 현실적이라고 판단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만, 중국 업체들이 순수하게 MID용 솔루션 개발만을 위해서 MIDIA를 결성한 것은 아니다. 인텔에 대한 보이지 않는 압력을 행사하기 위한 단체 행동으로도 볼 수 있어서다. 인텔이 MID 컨셉을 발표한 뒤 시험 작동까지 끝마쳤지만, MID는 매우 불안한 지형 위에 놓여 있다. 윈도 계열 UMPC보다 뒤늦게 출발할 뿐만 아니라, UMPC를 함께 이끌어 온 인텔과 마이크로소프트의 관계를 미뤄볼 때, 인텔은 언제든 MID에 소극적인 자세를 보일 수 있는 위험이 남아 있다. 때문에 상대적으로 약자일 수밖에 없는 대만의 PC 제조사들은 MIDIA를 통해 인텔에 공동 대응함으로써 인텔이 MID 제조사를 홀대하지 못하도록 미리 못을 박아두는 한편으로 UMPC용 오리가미를 공급하는 마이크로소프트에게도 동시에 경고를 날리고 있다.
여기서 UMPC인 R2H를 생산하는 아수스텍의 참여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맨 처음 UMPC를 만들었던 PC 제조사 중에 하나였던 아수스는 오리가미를 넣은 UMPC인 R2H를 다른 업체보다 늦게 출시했다. 완성된 제품이 아니면 출시를 미루는 아수스의 스타일 때문이지만, 그 이면에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오리가미의 문제점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않은 것이 가장 큰 이유였다. 아수스는 초기 R2H의 오작동이 하드웨어에서 빚어진 게 아니라 오리가미가 불안정한 탓이라고 주장했고, 이에 대해 큰 불만을 갖고 있었다. 마땅한 대안이 없어 그 울분을 속으로 삭힐 수밖에 없었지만, MID의 등장으로 마이크로소프트에 대한 반기를 들 수 있는 기회를 맞은 것이다. 실제로 아수스는 이번 IDF에서 R2H에 MID를 넣은 시제품을 공개했다.
대만 업체들에 비교해 우리나라 업체들의 움직임은 거의 없다. 사실 중소 업체들에게 MID는 열린 기회일 수도 있다. 하지만 MID에 대해서도 모르는 업체들이 여전히 많아 걱정스러울 뿐만 아니라 알더라도 적극성을 띄는 업체가 드물다. PMP 시장에서 앞서가고 있어 MID를 우습게 보는 것인지도 모르지만, MID를 둘러싼 지형 변화를 보면 결코 우습게 볼 일이 아니다. IT 업계의 생태 지형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MID에 대해 분석하고 대책을 준비한다면 내년 이후 초소형 PC 시장에서 벌어질 전쟁에서 우리나라의 많은 기업이 더 큰 경쟁력을 갖지 않을까 한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말씀하신 대로 과거의 사례나 예상을 보면 MID가 불안한 건 사실이죠. 한마디로 인텔이 얼마나 MID에 매진하느냐… 에 따라 MID의 성과가 달라질 것 같습니다.
쑥스럽습니다. 글 읽으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 저도 주변 내용을 정리한 거라 어느 부분은 오류가 있을 것 같습니다.
MID는 이미 그에 따른 여러 효과들이 곳곳에 나타나고 있지만, 무엇보다 이용자가 선택하느냐 아니냐가 중요하겠지요. 빨리 실체를 봤으면 좋겠습니다.
몇일전 MS와 미팅을 했습니다. MS의 경우도 오리가미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 매우 다양한 방면에서 접근을 하고 있더군요.
UMPC제조사를 다니면서 오히려 그들의 기발한 생각들을 가르쳐주고 갈 정도로 열성적입니다. 또한 여러가지 정보를 주면서 UMPC시장을 적극적으로 키우려고 노력하고 있었습니다. 비록 제가 영어가 짧아 깊은 대화를 나누지는 못했지만 말이죠;;
인텔의 MID시도는 좋다고 생각합니다. 리눅스 기반이지만, 인터페이스만 잘 구현된다면 큰 문제가 없겠죠.
다만 MS가 인텔을 적으로 만들기보다는 친구로 만들 가능성이 더 크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비즈니스라는게 늘 그렇잖아요^^
예전 같지 않다니 다행입니다. PMC 1.0을 발표한 뒤 MS 부회장이 한국을 방문했을 때 이런 말을 남기고 돌아갔던 게 아직도 기억에 남습니다. “왜 자막을 지원해야 하는가?”라고 했던.. 영어권만을 생각한 나머지 그 불편함을 몰랐던 게지요. 결국 PMC는 1.5를 내놓지 못하고 사라졌지요. -.ㅡㅋ
아.. MS나 인텔이나 서로가 적이라고 생각한다는 뜻은 아닙니다. 다만, 양쪽 다 자신의 위치에서 보면 일부 파트너 관계일 뿐이라 봅니다. 인텔에게는 MS도 일부 파트너, MS에게는 인텔도 일부 파트너인 것이지요. 다만 파트너의 규모가 다르다는 점은 있고요. MID는 그런 파트너의 위치와 자세에 대해 서로 견제 장치로 작용할 수도 있다고 봅니다. 뭐, 비즈니스란게 늘 그렇잖습니까. 오늘의 동지가 내일의 적이요. 내일의 적이 오늘의 동지가 되는… ^^
MS와 INTEL의 경쟁으로….가격이 떨어졌으면 좋겠습니다.ㅎㅎ
흐흐 이상한 대결구도인데요? 인텔과 AMD, MS와 리눅스가 붙어야 싸지는 게 정상인데 말이죠 ^^
인텔이 새로운 형태의 소형 컴퓨터 시장에 진입하면서 차세대 성장 동력을 마련하기 위한 야망을 드러내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울트라모바일 PC(UMPC)와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MID) 등으로 불..
인텔이 모바일 기기들을 위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모블린으로 명명된 모바일 리눅스 프로…
좋은 글 잘 봤습니다.고수 분께서 방문해 주셔서 감사드리고요…트랙백도 걸었습니다. 자주 들리겠습니다.
엇.. 아닙니다. 제가 고맙다는 인사를 드려야 하는데..
덕분에 인텔의 새로운 미래에 대해서 더 잘 알게 됐습니다. 전에 써뒀던 글도 한 번 더 읽어보게 됐고요.
앞으로 좋은 글 많이 써주세요. ^^
요새 나의 고민은 미래의 Mobile device이다. 과연 어떤 형태가 우리의 미래를 즐겁게 해 줄것인가? 그러한 미래를 준비하는 것이 바로 나의 관심사이기때문이다. 최근에 나온 모바일 기기중에서 ..
얀코디자인의 휴대용DVD 컨셉 [할말/컬럼] – 터치스크린은 미니멀리즘의 조력자이다 [Stuff/핸드폰] – 프라다폰은 LG의 스테디 디자인모델이 될 수 있을까? △위의 글과 같이 현재 트렌드가 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