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이유인지 모르지만 지난 구글 I/O에서 발표된 넥서스Q가 아직도 시중에 풀리지 않고 있다. 기계적인 오류가 있는지, 아니면 장치의 기능적인 문제인지, 가격이나 그 밖의 문제인지 알 수는 없지만, 어쨌거나 개발자들에게 뿌려진 넥서스Q의 후기를 모아보면 그다지 좋은 평가는 받지 못하고 있다. 가격 대비 효용성을 따져보면 그런 평가가 이해가 되는 부분도 있다.
그런데 넥서스Q가 이용자에게 얼마나 쓸모 있는 하드웨어냐의 관점은 접어두고 이 장치의 작동 방식에 대해서는 좀더 깊이 고찰해볼 필요가 있다. 장치가 다른 장치를 제어하는 방식에 대해서 말이다.

여기서 봐야할 부분은 넥서스Q와 이를 조작하는 장치의 연결 과정이다. 이를 테면 넥서스7이나 갤럭시 넥서스를 넥서스Q에 대기만 하면 NFC를 통해 넥서스Q를 조작할 수 있는 앱이 알아서 실행되면서 두 장치가 연결되는 것이다. 넥서스7 같은 안드로이드 장치에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앱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구글 플레이에 자동 접속한다. 이용자는 필요한 앱을 설치한 뒤 다시 한번 기기를 터치함으로써 두 장치의 동기화를 끝낼 수 있다.
이 시나리오가 마음에 드는 이유는 두 장치를 연결할 때 이용자가 읽어야 할 설명서를 없앴다는 사실이다. 사실 서로 다른 두 장치를 연결해 어떤 작업을 할 때 이용자는 매우 복잡한 과정을 이해해야 했고 그 때마다 많은 설명서를 뒤적거려야 했지만, 장치가 직접 필요한 기능들을 이용자에게 제안함으로써 그런 설명을 없앴다는 것이 가장 마음에 들었다. 물론 동기화 속도나 조작할 수 있는 범위에 대한 불만은 있지만, 앱을 통해서 다른 장치를 조작하는 여러 장치들은 이 시나리오를 우습게 봐서는 안된다.

다음TV도 마찬가지다. 다음TV를 스마트폰으로 조작할 수 있지만, 두 장치를 처음 연결할 때는 각각 따로 설정해야 한다. 앱도 이용자가 찾아서 깔아야만 하고 꺼져 있는 무선 랜도 켜야 한다. 물론 이런 설정 방식에 익숙한 이들은 아무렇지도 않을 수 있지만, 대부분은 이런 과정 자체가 귀찮고 복잡하게 보일 수밖에 없다. 결국 그냥 리모컨으로 쓰는 게 더 편하다 여기면 앱의 이용 가치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

덧붙임 #
얼마 전 보는 이의 성격과 취향에 맞춰서 TV의 설정을 바꿀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의견 제시를 요청 받았는데, 이렇게 자기가 쓰는 단말을 접촉하는 방식으로 설정을 빠르게 바꿀 수 있다면 긍정적으로 생각해볼 것이라고 답을 바꾸고 싶다.
넥큐 출시 포기한다는 뉴스를 어디서 본거 같은데요, 가물가물하네요.
선구매자들에게는 그냥 공짜로 한대씩 보내주기로 했다고…
트위터로 알려온 내용 중에 다시 생산해서 판매를 한다는 이야기가 있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