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WC 2018 돌아보기_ 스마트폰 리포트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때쯤 발표하던 플래그십 스마트폰을 다른 시기에 공개하기로 공지했던 화웨이와 아직 준비가 덜 된 G 시리즈의 후속작을 내보낼 수 없다는 LG, 그리고 크고 작은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신제품을 공개하는 자리를 마련하지 않음에 따라 MWC 2018 시작 전 이미 스마트폰 부분에 대한 큰 기대를 걸기 어려울 것임을 짐작케 했다. 그나마 2년 만에 MWC로 돌아와 갤럭시 S9 언팩 행사를 연 삼성과 꾸준히 플래그십 제품을 선보인 소니마저 없었으면, MWC 2018의 스마트폰 이야기들은 더욱 재미 없을 뻔했다.

MWC에서 스마트폰 부분에 대한 이야기가 이처럼 빈곤해진 것은 스마트폰의 현재와 미래의 고민을 모두 보여주고 있음을 뜻한다. 단순히 신제품을 공개하지 않아 생긴 문제가 아니라 스마트폰에 대한 달라진 요구를 업계가 충족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적 고민을 고스란히 드러냈다는 의미다. 물론 스마트폰은 몇 년 안에 형태나 성격의 바뀔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라 제조사의 비밀 무기를 꺼내 놓기는 너무 이른 시점이지만, 그렇다해도 이번 MWC의 스마트폰마다 무엇을 기대해도 좋은가에 대한 답은 찾기 힘들었다.

빈곤해진 플래그십 스마트폰

플래그십 스마트폰은 사실 제조사의 역량과 방향을 옅볼 수 있는 일종의 지표처럼 보일 때가 있다. 특히 MWC 등 대규모 행사를 전후로 발표되는 플래그십 스마트폰은 앞으로 1년 동안 제조사에서 추구하는 방향을 엿보기 좋은 시료로 참고해 왔다. 각 제조사에서 내놓은 플래그십의 제원과 기능 등 그 성격을 파악하면 제조사의 방향을 어느 정도는 읽을 수 있어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MWC에서 공개한 갤럭시 S9

이번 MWC에서 제조사들마다 플래그십을 공개했지만, 모두 신형은 아니다. MWC에서 공개된 새로운 플래그십은 삼성 갤럭시 S9과 소니 엑스페리아 XZ2 시리즈, 여기에 노키아가 내놓은 노키아 8 시로코가 전부다. 화웨이는 지난 해에 출시한 메이트 10 시리즈를, LG는 V30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V30S 씽큐(ThinQ)로 전시대를 채우는 수준에 머물렀다. ZTE의 액손 M 역시 지난 CES에서 이미 공개된 제품이었고, 중국 제조사인 비보는 X20이라 부르는 플래그십을 갖고 왔음에도 제한된 미디어에만 공개했다. 참고로 올해는 샤오미가 처음으로 MWC에 공식 부스를 차렸으며, 중국 중저가 브랜드인 울레폰도 작은 부스를 운영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커브드 엣지를 적용한 노키아 8

일단 MWC의 플래그십 수가 적다고 보긴 어렵지만 아무래도 제조사의 의도를 읽을 수 있는 새로운 제품의 발표가 너무 적어 분위기를 끌어 올리지 못한 점에서 아쉽다. 지난 해 삼성이 빠진 대신 화웨이, LG와 더불어 TCL의 블랙베리 키원과 레노버의 모토 신제품 행사 등 활발했던 분위기와 너무 대조를 이룬 것이다. 그나마 기존 플래그십에 MWC를 통해 데뷔한 스마트폰으로 전반적인 흐름은 확인할 수 있는 분위기를 남긴 것은 다행이었다.

성능과 기능의 불균형

제조사들이 플래그십 스마트폰에 공들이는 이유는 단순히 많은 기능이나 좋은 성능만을 내기 위한 것은 아니다. 최상의 경험을 할 수 있는 제품을 내놓음으로써 이용자에게 줄 수 있는 제품의 가치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한 목적일 것이다. 하지만 좋은 플래그십 스마트폰의 정의를 내리기는 어렵다. 너무 많은 기능이나 뛰어난 성능을 보여줄 것 같은 제원, 보기 좋은 맵시를 가졌더라도 그것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제품이라면 이용자는 냉정하게 평가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냅드래곤 845를 탑재한 소니 엑스페리아 XZ2

그런 면에서 보면 이번 MWC에서 처음 공개된 플래그십 스마트폰은 균형을 잡지 못한 부분이 있다. 만듦새나 재주들은 여전히 좋은 반면 부품의 능력을 끌어내는 지점까지 도달하지 못한 것이다. 특히 지난 해 12월 발표된 퀄컴 스냅드래곤 845 같은 최신 AP를 채택한 신형 스마트폰들 중에 그 능력을 제대로 끌어낸 것을 찾아보기 힘들다. 퀄컴은 스냅드래곤 845가 인공 지능과 시각 현실 성능에 보강했다고 밝혔지만, 이 AP를 채택한 삼성이나 소니의 플래그십에서 능력을 끌어낸 것은 내장된 X20 LTE 모뎀으로 1Gbps 이상의 무선 데이터 전송 속도 뿐이다.

어쩌면 제조사들에게 새로운 AP의 성능을 충분히 끌어낼 기능을 넣을 만큼 시간적 여유가 없었을 수도 있다. 퀄컴의 신형 AP가 지난 해 12월에 공식 발표된 상황이어서 이에 대비할 시간이 부족했을 수 있던 것이다. 그런 상황을 감안해도 AP의 능력을 제대로 꺼낼 수 없는 제품들은 제조사가 가격을 유지하려는 목적 이외에 이용자에게 제품을 구매해야 할 이유를 설명할 수 없게 만들어 버렸다. 새로운 AP가 갑자기 나타난 것에 문제를 제기할 수도 있지만, 애초에 더 나은 성능을 가진 AP의 등장에 대비한 제조사들의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점을 돌아봐야 할 때다.

너도나도 인공 지능, 여전히 덜 성숙해

아마도 많은 이들은 MWC 2018의 스마트폰에서 인공 지능에 대한 이야기를 기대했을지 모른다. 사실 이번 MWC는 지난 해에 비하면 확실히 인공 지능에 관한 기능들은 적지 않게 찾아낼 수 있기는 했다. 음성 비서를 활용한 검색이나 이미지나 단어를 알아채고 상황에 맞는 기능을 실행하거나 조정하는 능력이 이전보다는 나아진 것이다. 음성 비서로는 삼성의 빅스비나 구글 어시스턴트가 활약했고, 이미지나 상황 인식 부분에서 화웨이와 LG, 삼성이 각각 기능을 넣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AI로 사물을 인지한 메이트 10 프로

물론 스마트폰의 인공 지능은 아직 초기에 가까운 터라 만족도가 높은 상황은 아니다. 음성 비서는 스마트폰의 기능을 제어하거나 검색어를 찾는 등 이전의 활용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사물을 인식하는 능력도 사람이나 개, 고양이, 음식 등 큰 분류로 판별할 뿐 더 세밀하게 이해하는 상황은 아니다. 다만 제품에 따라 쓰면 쓸수록 분석된 상황을 판단하고 촬영 옵션을 조절하거나 배터리를 절약하는 재주를 가진 제품이 일부 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카메라에 사물 인식을 추가한 V30S 씽큐

하지만 대부분은 스마트폰의 프로세서를 활용하는 학습 능력을 가속하는 제품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신경망 코어를 탑재해 이미지 인식 속도를 높이고 있는 화웨이 메이트 10 프로를 제외하면 이미지나 음성 비서를 탑재한 스마트폰 가운데 하드웨어 가속을 활용해 인공 지능의 학습을 돕는 제품을 찾기 어렵다. LG가 공개한 V30S 씽큐 역시 AI 카메라 기능을 탑재하고 있지만, 이를 가속하는 신경망 코어가 추가된 것은 아니다. 제조사들은 인공 지능이 하나의 방향이라는 공통된 인식을 갖고 있는 것은 확인할 수 있었으나, 관련 기능의 가속을 위한 하드웨어 보완에는 아직 미온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재주만 늘린 카메라

지난 해 듀얼 카메라를 채택한 스마트폰의 트렌드는 올해도 계속 이어졌다. 광각과 줌, 표준과 줌 등 제품마다 카메라의 구성은 조금씩 다르지만, MWC에 있던 상당수 스마트폰이 듀얼 카메라를 채택하고 있었다. 특히 플래그십이 아니어도 중고가 제품까지 듀얼 카메라를 적용하고 있어 지난 해보다 더 늘어난 듯한 인상이다. 물론 모든 제조사가 듀얼 카메라를 채택한 것은 아니다. 삼성 갤럭시 S9이나 소니 엑스페리아 XZ2, XZ2 콤팩트처럼 여전히 싱글 카메라만 고집한 제품도 적지 않다. 샤오미 역시 듀얼과 싱글이 반반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변 조리개 기능을 갖춘 갤럭시 S9

MWC 2018에서 카메라만 놓고 볼 때 흥미를 높인 것은 삼성 S9 시리즈다. 기계식 듀얼 조리개를 처음 적용했기 때문이다. 최대 개방한 조리개 값이 f/1.5라 더 많은 빛을 받아들일 수 있지만, 밝은 곳에서 오히려 지나친 광량으로 곤란을 겪을 수 있기에 가변 조리개로 f/2.4까지 조여 광량을 줄일 수 있도록 보완 했다. 지난 해 가을 글래스 렌즈를 적용한 V30처럼 카메라 시스템을 응용한 것은 의미 있는 부분이다.

하지만 이미지 품질 개선 측면에서 눈에 띌만한 변화는 찾기 힘들다. 대부분의 스마트폰에서 독특한 이용자 경험을 주기 위한 기능에 좀더 초점을 맞춘 터여서 그럴 수도 있다. 슈퍼 슬로 모션이나 AR 이모지, AI 상황 인식 등 카메라를 이용한 기능은 풍부해진 반면광학 시스템의 개선이나 더 강력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AI에 기반한 이미지 개선의 노력은 거의 없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ISO 12800 동영상 녹화 성능을 공개한 소니

다만 소니는 ISO 12800로 감도를 올려 찍은 동영상의 노이즈를 줄이는 기술을 다음 제품에 탑재하기로 발표하는 동시에 성능을 미리 엿볼 수 있는 시제품을 전시했다.

새로운 시도거나 무모하거나…

사실 MWC는 플래그십이 아니더라도 틈새를 공략하거나 독특한 스마트폰이나 휴대폰을 찾는 재미도 쏠쏠했던 전시회다. 특히 스마트폰 시장이 뜨겁게 성장하던 시절, 다양한 제조사와 운영체제 개발사가 저마다 다른 가치와 기술을 담은 제품을 공개해 참관객의 눈길을 끌었던 것이다. 하지만 스마트폰 시장의 선수들이 정리된 지금 과거 만큼의 활력을 찾는 것은 어려운 일이 됐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접이식 폴더 스마트폰, ZTE 액손 M

그렇더라도 그러한 스마트폰이나 휴대폰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지난 해 HMD를 통해 생산하고 유통을 시작한 노키아는 과거 매트릭스폰의 향수를 차용한 바나나폰을 들고 왔다. 바나나폰은 몸통이 바나나처럼 완만하게 휘어 있고 매트릭스 때처럼 슬라이드 커버를 아래로 내려서 통화를 하는 휴대폰이다. 하지만 원터치로 내릴 수 없는 점이 아쉽다.

ZTE는 액손 M이라 부르는 접이식 스마트폰을 전시했다. 이미 CES에서 공개했던 스마트폰이어서 아주 새로운 제품은 아니지만, 흥미를 끌기엔 좋았다. 화면을 반으로 접으면 일반 스마트폰으로, 반쪽을 펴면 넓은 화면으로 쓸 수 있지만, 접는 부분이 그대로 노출된 터라 보기엔 흉하다. 단지 화면을 펼치면 정보를 볼 수 있는 영역이 넓어지면 편한 점도 있다. 이를 테면 지도를 볼 때처럼 말이다. 하지만 동영상을 볼 때 화면을 접는 부분이 너무 눈에 띄는 탓에 몰입감을 방해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e잉크 디스플레이와 AMOLED 디스플레이를 모두 넣은 하이센스 A2pro

몇년 전 러시아에서 만든 요타폰 같은 제품도 다시 등장했다. 하이센스가 앞뒤에 이종 디스플레이를 채택한 스마트폰을 전시한 것. A2프로라 불리는 이 제품은 앞에 OLED를, 뒤에 e잉크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콘텐츠의 성격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아이폰의 노치 디자인이나 에센셜의 풀스크린 디자인을 따라 만든 제품들도 적지 않았는데, 아이폰처럼 풀스크린을 제대로 적용한 제품은 거의 없었다.

스마트폰 VR 대신 기지개 켜는 AR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VR은 이번 MWC에서 주춤했다. 지난 해까지 이 시장을 주도한 삼성과 이 시장에 도전 중인 구글 진영의 노력이 엿보였지만, 올해는 이렇다할 변화와 시도가 거의 없던 것이다. 물론 스마트폰 VR 자체가 사라진 것은 아니다. 스마트폰을 전용 VR 헤드셋과 결합하는 형태로 즐길 수 있는 스마트폰 VR은 그대로 존재하지만, 스마트폰의 진화에 따른 새로운 가치를 주는 변화는 없던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구글 데이드림 플랫폼을 넣은 레노버의 독립형 VR 헤드셋.

그런데 이 같은 현상이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가능성을 배제하긴 어렵다. 모바일 VR은 스마트폰을 쓰지 않는 독립형 시장으로 옮겨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스마트폰 기반 VR이 나온 데는 기존 플래그십의 존재 가치를 높이는 기능을 찾았던 제조사의 의도도 깔렸지만, 스마트폰이 VR에 필요한 컴퓨팅 조건을 갖추고 있었고 값싼 헤드셋 액세서리만으로 이를 구현할 수 있어 보급이 쉽다는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특정 제조사의 스마트폰과 빈약한 3자유도(DoF)만 구현하는 VR 헤드셋의 제약을 감안하면 스마트폰 VR보다 성능은 비슷하면서 훨씬 값싸게 구입할 수 있는 Mi VR 같은 그 자리를 대신할 수도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6자유도의 고성능 독립형 VR 역시 스마트폰 VR을 대체제로 곧 나올 예정이어서 시장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스마트폰 기반 VR에 크게 관심을 두지 않는 분위기처럼 보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NTT 도코모의 AR 서비스

스마트폰 증강 현실도 가상 현실 만큼이나 썩 좋은 분위기였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대부분의 스마트폰이 적극적으로 AR 관련 기능을 내놓은 게 아니라서다. 이미 오래 전부터 AR 기능을 탑재해 왔던 소니나 AR 이모지를 추가한 삼성에 비하면 활용 측면에서 아직 걸음마 단계에 머물러 있다. 하지만 가라앉는 스마트폰 VR과 살짝 다른 분위기인 것은 맞다. 지난 해 구글이 내놓은 AR 코어를 기반으로 새로운 기능을 넣으려는 신호들이 미약하게나마 감지된 때문이다. VR처럼 액세서리를 하드웨어를 추가 구매할 필요도 없고 스마트폰만 있으면 활용할 수 있지만, 차별화된 AR을 어떤 방식으로 선보여야 할지 고민하는 제조사가 적지 않았다. 아마도 1년 뒤 MWC에서 스마트폰 AR은 다시 평가하게 될 듯하다.

PHIL CHiTSOL CHOI Written by:

Be First to Comment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