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이 되면 이통사를 통해 개통하지 않은 스마트폰을 자유롭게 쓸 수 있다는 소식으로 여기저기 분주하게 움직이는 모습들이 보입니다. 그 모든 행동이 뉴스로 전파되면서 수많은 정보가 더욱 헷갈리게 만들고 있는 상황이지요. 스마트폰 단말기 요금이 내려간다는 긍정적인 의견도 있고, 오히려 제값 주고 살 사람이 적어서 유명무실할 것이라는 부정적인 입장도 있습니다. 어찌됐든 5월은 국내 이동통신 단말기 유통 환경의 변곡점이 될 수도 있는 매우 중요한 시기가 될 겁니다.
그런데 5월 이전, 또는 그 이후의 최신 스마트폰을 사서 쓰려는 이들이 아니라면 그 이전에 나온 스마트폰은 사실 5월 이후에 사지 않아도 됩니다. 지금도 어떤 단말기를 구입하느냐에 따라서 비교적 자유롭게 유심(USIM)을 꽂아서 쓸 수 있기 때문이지요. 3G 단말에 3G 유심을 꽂아서 기변을 하는 것은 이미 오래된 이야기였고, LTE 단말에 3G 유심을 꽂아서 쓸 수 있게끔 정책이 3월 말부터 시행된 터라 약간 혼선이 있는 듯 하지만 지금도 유심 기변 자체는 불가능한 상황은 아닙니다.
이통사가 중고 단말기를 매입해 직접 평가를 하고 내놓은 제품들은 가격은 괜찮아 보였습니다. 무리하게 높은 가격도 아니고 그렇다고 일반적인 중고가보다 많이 낮지도 않지요. 다만 단말기의 상태, 현재 가치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잘 살펴보면 일반적인 중고가보다 싸게 구매할 수도 있습니다. 갤럭시 S2 같은 단말을 제외하면 대체로 안드로이드 폰은 10~25만 원 사이에 팔고 있어 직접 구매의 부담도 적어 보였습니다.
이틀 만에 택배로 받은 단말기를 살펴보니 실제 장터에서 본 것과 큰 차이는 없더군요. 작동을 해보니 별다른 이상이 없고, 중고 판매를 위해 초기화도 해놓은 상태였습니다. (초기화 안하고 보냈으면 정말 아찔한 상황이… ㅜ.ㅜ) 제품 덮개의 흠집도 거의 없는 상태였고, 다른 덮개는 포장조차 풀지 않아서 새것처럼 느껴지기도 하더군요. 다만 설명서나 제품 상자에서 약간 사용감이 느껴지는 정도의 차이는 있었습니다.
덧붙임 #
1. 엑스페리아 X10 미니를 산 이유는 다른 글에서..
2. 포장재에 이전 구매자의 이름과 개통 번호가 적혀 있더군요. 이런 것은 지우고 보내야 하는 게 아닐까요?
SKT, KT가 직접 판매하는 에코폰, 그린폰이 아닌 중고 거래 장터는 SKT, KT에서 보장해주지 않는군요.
안전거래가 추가되었다는 것을 제외하면 다른 중고 장터에 비해 큰 장점은 없는 것 같습니다.
개인 판매를 제외하면 기업이 책임질 수 있는 부분이 있으므로 그 점은 다른 중고 장터보다는 나을 텐데요. 적어도 문제가 된 제품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지는 않을 테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