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란 아임IN, 포스퀘어와 무엇이 다른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파란이 요즘 아이폰 응용 프로그램 제작에 재미 들렸나 봅니다. 중요한 것은 그냥 포털 서비스의 의무감으로 만든 게 아니라 재미도 곁들였다는 점인데요. 또한 파란의 모바일 응용 프로그램들이 단순한 앱이 아니라 파란의 서비스와 연계된 것인데, 아임IN도 그 중 하나 입니다.


예전에는 내가 있었던 흔적을 남기는 게 아니라 지우는 시대였습니다. 철저하게 개인 정보로서 분류했던 탓이지요. 하지만 스마트폰이 한창 보급되고 있는 지금은 내가 다녀온 곳을 다른 이들과 공유하고 즐기는 것이 전혀 낯설지 않게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음식점, 놀이공원, 잘 알려진 장소, 각종 상품 매장, 지하철 역, 늘 걷던 길까지 모든 곳이 기록되고 이를 공유하면서 즐기게 된 것이지요. 이것 역시 다른 이용자에게 유용한 정보가 되기 때문인데, 이미 포스퀘어 같은 외국 서비스로가 이러한 이용자의 심리를 꿰뚫어 성공을 거두고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임IN도 자기가 있는 장소를 기록으로 남기도록 도와주는 서비스 앱입니다. 예를 들어 지금 명동역에 있다면 아임IN을 실행한 뒤 발도장 찍기를 누르고 확인을 누르면 지금 자신이 명동역에 다녀갔음을 기록해 둡니다. 이 기록은 이용자가 들고 있는 아이폰에서 볼 수도 있고, http://www.im-in.com 이라는 웹사이트에 차곡차곡 기록되기도 합니다.


또한 남들이 먼저 발도장을 찍지 않은 곳에서 이용자가 처음으로 발도장을 찍으면 그 장소의 콜럼버스로 인정됩니다. 남들이 찾지 않은 신세계를 찾았던 과거 콜럼버스처럼 남들이 발도장을 찍지 않은 그 장소를 먼저 찾아냈다고 인정해 주는 것이지요. 콜럼버스가 된다고 좋아지는 일은 없습니다. 다만 남들보다 먼저 그 장소를 차지한 듯한 기분을 만끾할 뿐이죠.


게임적인 요소보다 소통을 중시하다


사실 아임IN은 콜럼버스가 되는 것에 의미를 두기는 어렵습니다. 물론 콜럼버스가 되어 그 자리를 차지했다는 성취감을 주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 재미를 느끼기는 어렵습니다. 아임IN 이전에 유행했던 포스퀘어가 콜럼버스와 비슷한 개념의 메이어(Mayer)를 놓고 이용자들끼리 이를 빼앗는 식으로 경쟁을 유도하거나 진행 성취도에 따라 수많은 배지를 부여하는 방식을 쓴 것과 달리 아임IN은 절대 이러한 경쟁을 유도하지 않습니다. 한마디로 게임적인 요소보다 위치 정보의 공유와 대화의 개념을 더 강조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포스퀘어가 메이어를 빼앗고 뱃지를 얻는 게임적 요소가 강한 한편으로 대화가 없고 그 곳에 대한 좀더 정확한 정보를 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러니까 특정 장소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거나 특정 장소를 공유하는 사람끼리 대화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죠. 포스퀘어를 하는 이들은 대체로 묵묵히 그 장소를 체크인하는 게 고작입니다.


때문에 아임IN은 정보 공유와 대화를 좀더 중시합니다. 너무 경쟁에 몰입하기보다 특정 장소와 관련된 이들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도록 만든 것이지요. 포스퀘어를 했던 이들은 경쟁이 없다는 점에서 다소 흥미가 떨어진다고 하겠지만, 이러한 류의 서비스를 처음 즐기는 이들에게는 이것이 오히려 흥미를 줄 수도 있습니다. 물론 발도장을 찍는 것이나 체크인을 하는 것이나 그 행위 자체는 다르지 않지만, 그 목적은 다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대화를 중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누구나 그 장소에 대한 이야기를 할 수 있고, 꼭 그 장소를 가지 않아도 그 장소에서 만난 것처럼 이야기를 할 수도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 어떻게 발도장을 남기느냐가 중요합니다. 그냥 발도장만 남기면 아무런 의미가 없으니까요. 발도장을 남길 때 자기 감정, 느낌, 정보 등 여러 이야기를 전할 수 있고, 여기에 이야기를 덧붙일 수 있는 댓글을 달 수 있도록 했습니다. 또한 사진을 찍어서 공유하는 기능도 더했고 굳이 스마트폰이 아니어도 인터넷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자기와 이웃을 맺은 지인과 소통을 할 수 있는 장치까지 둔 것이죠. 이런 점들이 아임IN을 포스퀘어와 다른 서비스라고 말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콜럼버스보다 차라리 21세기 김정호는 어땠을까?


포스퀘어와 다른 개념을 반영한 점은 마음에 드는데, 아쉬운 점도 많습니다. 포스퀘어와 너무 차별화하다보니 게임적 옵션을 너무 배제한 게 아닌가 싶더군요. 과도한 경쟁은 서비스를 해칠 지도 모르지만, 약간의 경쟁 또는 게임적 요소를 도입하는 것으로 활력을 심어줄 필요가 있을 것 같더군요. 솔직히 이야기만 나누는 것은 좀 심심하더군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성취감을 주는 요소가 강했던 포스퀘어의 장점을 일부는 살렸으면 좋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또 하나, 아무도 발도장을 찍지 않은 곳에서 맨 먼저 발도장을 찍으면 어김없이 콜럼버스라는 칭호가 붙습니다. 어쩌면 콜럼버스가 어감도 좋고, 많은 이들이 부담없이 받아들일 것이라고 생각했는지도 모르겠는데요. 다만 이 칭호가 조금 아쉬운 면이 있는데요. 개인적으로는 전국 방방곡곡 발품을 팔아 <대동여지도>를 만든 김정호는 그 칭호로 어땠을까 하는 생각도 들어서 말이죠. 열심히 발품을 팔며 발도장을 찍는 이들 가운데 높은 레벨을 얻은 이들에게 ‘김정호의 후학’이라는 칭호 같은 것을 주는 것도 나쁘진 않아 보이는데 말이죠. ^^


아무튼 좋은 서비스지만, 조금 더 재미를 추구했으면 좋겠습니다. 누구의 것을 빼앗지 않는 방식 자체는 마음에 들지만, 그래도 누군가와 함께 즐길 수 있는 요소가 있어야 서비스가 더 오래갈 테니까요.


너무 잘 만들었지만 왠지 아쉬움도 짙은 앱, 아임IN이었습니다.


PHIL CHiTSOL CHOI Written by:

20 Comments

  1. 2010년 7월 19일
    Reply

    무거운 맥북 프로로 기차안에서 열심히 읽었습니다 ㅋㅋ 아이고 미국에서 저런 앱 만들면.. 어딜가나 콜럼버스 겠군요 ㅋㅋㅋ

    • 칫솔
      2010년 7월 21일
      Reply

      ㅎㅎ 미국에 딱 어울리는 앱이 아닐까 싶다능… ^^

  2. 2010년 7월 20일
    Reply

    KTH가 KT 그룹 내에서 푸대접을 받고 있다 보니 뭔가 열심히 해보려고 하는 듯 하네요. ㅎ

    • 칫솔
      2010년 7월 21일
      Reply

      그런 것 같아요. 요즘 선보이는 앱이 서비스와 결합된 것이라 잘만하면 네이버나 다음보다 나은 결과를 얻을 수도 있을 것 같더군요. ^^

  3. 2010년 7월 20일
    Reply

    포스퀘어와의 차별화만을 너무 노리다 보니 별다른 보상도 제공하지 않고 컨텐츠를 모으려는 구조가 되어버렸는데..

    이러한 서비스는
    1. 어떻게 사용자들을 계속적으로 묶어둘 수 있느냐
    2. 어떻게 사용자들이 해당 스팟에 대한 컨텐츠를 생성하고 공유하게 하는가가 중요한데..

    포스퀘어가 체크인만 하고 가는 형태가 되면서 2번을 놓쳤다고 한다면, 현재의 아임인은 체크인을 해야 할 필요성마저도 제공하지 못하고 있네요. 컨텐츠를 모으기 위해서는 컨텐츠를 기여한 사용자에 대한 (심리적)보상은 상당히 중요한 요소인데.. 현재 모델로는 초기 스팟 확보는 몰라도 사용자들을 묶어둘만한 요소는 그리 크지 않아 보이네요 ^^

    • 칫솔
      2010년 7월 21일
      Reply

      onyoo님의 의견을 개발자가 수용했으면 좋겠어요. 저도 동의하는 부분이거든요. ^^

  4. 2010년 7월 20일
    Reply

    안드로이드용이 아니므로 무효.. -.-;;

    • 칫솔
      2010년 7월 21일
      Reply

      컥…

  5. 2010년 7월 20일
    Reply

    저역시 안드로이드용 아임IN이 있나 찼아봤는데 없군요. 안드로이드용도 언젠간 만들었으면…

    • 칫솔
      2010년 7월 21일
      Reply

      그러게요. 요즘 안드로이드 쓰는 사람이 정말 많은 데 말이죠. ^^

  6. 2010년 7월 20일
    Reply

    파란의 지인 개발자가 열심히 앱을 만든다고 하더니 이 앱을 만들고 있었더라구요.
    확실히 포스퀘어와는 달리 커뮤니케이션을 좀 더 중요시하는 서비스로 개인적인 만족도는
    높지만 말씀하신대로 ‘콜롬버스’라는 네이밍은 살짝 아쉽네요.
    넓은 지역을 찍은 사람은 ‘김정호’,
    하루에 많은 발도장을 찍은 사람은’홍길동’등의
    네이밍이었으면 하는 하는 개인적인 아쉬움이 🙂

    그렇지만 국산로컬 서비스로서 우리에게 최적화된 다양한 콘텐츠와
    기업의 제휴를 통한 이벤트 서비스를 기대해 봅니다.

    • 칫솔
      2010년 7월 21일
      Reply

      제노님 말씀처럼 국내에서 모바일 응용 프로그램 만드는 분들이 이름짓기에 좀더 고민했으면 좋겠어요. 아무튼 서비스는 꼭 성능했으면.. ^^

  7. 2010년 7월 20일
    Reply

    안드로이드 앱이 없어서 무효 ㅠ.ㅠ // 이미 위에 이댓글이 있군요..

    • 칫솔
      2010년 7월 21일
      Reply

      큭.. 파란에서 이 댓글들을 꼭 봐야 할텐데요. ^^

  8. 많은 사람들에게 아직은 생소한 서비스이겠지만, 미국에서 포스퀘어라고 하는 LBS(Location Based Service: 위치 기반 서비스)라고 하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특정한 지역에 가서 자신의 위치를 방문(Check-In)하면서 자신의 친구들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릴 수도 있고, 동일한 장소를 다른 사람들보다 많이 방문하면 이 장소의 시장(Mayor)가 되는 서비스인데 2009년도에 시작을 해서 미국에서는 꽤 알려진 서비스이고 벌써 상당한 유저를..

  9. dylanseo1995
    2010년 7월 21일
    Reply

    제가 좀 심한 음모론자라서 저런 앱들은 좀 꺼림직하더군요… 위치정보라는게 영화같은데서보면 상당히 유용하고 사악하게 악용이 되는터라 (응?) 어쨋든 좋은 앱이네요….

    • 칫솔
      2010년 7월 21일
      Reply

      좋은 약재로 잘못 쓰면 독이 되는 것과 다를 게 없죠. ^^

  10. 비교적 정리를 좋아하는 편입니다. 특히 컴퓨터 하드 속의 폴더나 문서명, 책이나 CD 등의 순서 같은 것에 민감하고 집착하는 편이죠. 🙂 그래서 아이폰의 페이지별 앱 구성도 분야별로 차근차근 모아서 열심히 정리해 놓는데요. 이것은 꼬날이의 아이폰 첫 화면입니다. 엄청 좋아하거나 혹은 매분 매시 사용하는 앱들만 삭- 모아 놓고 있죠. 제 아이폰의 첫화면은 마치 Foursquare의 Mayor 처럼 매우 경쟁적인 자리입니다. 수많은 앱들이 이 자리에..

  11. 2010년 7월 23일
    Reply

    스마트폰은 기계적인 측면에서만 따져보면 사실 별게 아닐 수도 있었다. 몇년 전에 유행했던 PDA와 휴대폰을 주축으로 카메라, 지자기센서, GPS 등이 결합한 것이므로 소형화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선 등 몇몇 측면 빼고는 혁명적인 발전이라고 보기는 힘들 것이다. 그런데 이 부속들이 각각 존재했을 때는 별게 아니다가도 한꺼번에 힘을 합치면 대단한 화학작용을 불러 일으켰고, 현재와 같이 스마트폰 열풍을 불러일으킨 것이다. 기업 용어로 한다면 시너지 효..

  12. 2011년 1월 14일
    Reply

    2010년 모바일 & 소셜웹 키워드 중 하나는 LBS가 아닐까 합니다. 위치기반서비스를 의미하는 LBS는 2009년 말 아이폰 출시를 배경으로 증강현실과 더불어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위치기반서비스(LBS)란? 휴대폰 속에 기지국이나 위성항법장치(GPS)와 연결되는 칩을 부착해 위치추적 서비스,공공안전 서비스 등 위치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일컫는다. 즉 유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얻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