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나 그렇듯 올해도 CES의 막이 오르자 정말 다양한 소식들이 정신없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이 소식들만 잘 모아서 분석해도 각 분야의 올해 트렌드를 전망할 수 있는데, 오늘은 PC와 관련된 뉴스를 모아 올해의 PC 트렌드를 예상해 봅니다.
1. 스마트북의 성장
이번 CES 2010은 스마트북 시장의 시발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대형 PC 제조사를 중심으로 여러 스마트북을 전시했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퀄컴, 엔비디아, 프리스케일 등 ARM 진영의 코어 제조 업체들이 제각각 일반 연산과 그래픽 연산에 강력하면서 배터리를 오래 쓰는 프로세서를 잇달아 발표하면서 스마트북 생산에 활기를 불어 넣고 있습니다.
스마트북은 노트북과 같은 형태이기는 해도 윈도 XP나 윈도 7 같은 데스크탑 운영체제 대신 윈도 CE나 안드로이드 같은 모바일용 운영체제를 쓰는 터라 장치의 운용 방식이 조금 다를 수 있기는 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활용하는 업무용 애플리케이션이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활용하는 데 큰 문제가 없도록 기능성을 보강하고 배터리를 오래 쓰는 ARM 특유의 장점을 살릴 것이어서 연말에 어떤 결과가 나올지 무척 궁금해집니다.
2. 태블릿 컴퓨팅의 진보
태블릿 컴퓨팅은 2000년 초부터 “매년 성장할 것”이라는 예측을 쏟아내도록 만들었으나 연말 결산에서 늘 예측 실패를 인정해야 했던 컴퓨팅 부문입니다. 그 이유는 해마다 열리는 CES에서 수많은 태블릿 장치들이 선보였기 때문인데, 이로 인해 이같은 전망이 나올 수밖에 없었습니다.
올해도 역시 수많은 태블릿 장치들이 CES를 수놓고 있지만, 분위기는 태블릿 컴퓨팅에 대한 평가가 예전과 달라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CES 뿐만 아니라 이후 애플이 태블릿을 내놓을 것으로 예정되어 있는 터라 태블릿 장치 시장에 대한 기대감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기 때문이지요.
3. 넷북 플랫폼 교체

CES 이전부터 인텔이 2010년부터 넷북용 플랫폼을 바꿀 것이라는 소식을 전했던 터라 새로운 소식은 아니지만, 실제로 이번 CES는 종전 아톰 프로세서가 아니라 파인뷰라고 이름을 붙인 새로운 아톰 프로세서들을 쓴 넷북이 전시되었습니다. 종전 아톰 시리즈 넷북도 계속 나오긴 하겠지만, 신형 아톰으로 대체되면서 그 수는 급격히 줄어줄 전망이나 아이온처럼 그래픽을 강화한 고성능 넷북의 수요가 있어 적은 수량이지만 종전 부품을 쓰는 넷북도 꾸준히 등장할 것입니다.
4. 윈도7 빠르게 대체
CES에 전시된 넷북과 연계해서 추론해 볼 수 있는 또하나의 사실은 윈도 7의 대체가 빨라질 것이라는 점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넷북 시장에 맞는 운영체제를 내놓지 못한 탓에 윈도 XP를 싸게 공급했지만, 윈도 7을 만들면서 넷북용 윈도 7 스타터 에디션도 함께 내놓은 터라 이를 채택한 신형 넷북의 보급과 함께 윈도 7 보급률도 올라갈 전망입니다. 시장 조사 기관 마켓 쉐어에 따르면 윈도 7의 시장 점유율은 이미 5.7%가 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신형 넷북의 보급에 따라 점유율은 더 빠르게 늘어날 것입니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가 넷북용 윈도 XP를 싸게 공급하면서 하드웨어 제원에 상당부분 제약을 둔것과 윈도 7 스타터 에디션은 그 제원을 대폭 조정한 터라 화면 해상도와 램, 하드디스크의 용량 등이 증가해 좀더 풍족한 제원을 가진 윈도 7 넷북을 만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5. 인텔과 ARM 진영의 크로스 오버
특히 인텔은 CES 2010의 기조 연설을 통해 지난 3년 동안 LG와 공동 개발해 온 무어스타운 기반 MID를 선보임으로써 손안의 장치에 대한 저욱 명확한 비전과 컨셉을 보여줬습니다. ARM 역시 다수의 스마트북을 공개함으로써 이 시장에 대한 진출 의지를 확고하게 다졌는데, 양측 모두 자기들이 구축한 시장을 내주지 않을 것이라는 확고한 믿음을 바탕으로 확장에 나서는 것이라 흥미를 끌고 있습니다. 두 진영의 크로스오버는 올해 뿐만 아니라 향후 몇년 동안 지속적으로 전개될 것이므로 단순히 올해의 결과만을 놓고 이야기하기는 어려울 듯 합니다.
잘 봤습니다. 옥의 티라면 제일 위에 사진으로 소개된 스카이라이트는 델이 아니라 레노버 제품이라는..^^;
ARM과 인텔이 본격적으로 맞붙는 한해가 되겠네요. 양측 모두 선전하길~! 🙂
이럴 땐 참 빠르세요. 그날 트위터 보고 고쳐놨습니다. ^^
태블릿이 성장할 충분한 환경이 되었다 봅니다. 소비자의 수준이 올라갔고, 기술적 구현 가능성이 확보되었으며, 컨텐츠가 이미 존재하기 때문일 것이라 생각해 봅니다.
윈도우 xp로 10년을 울궈 먹었으니, 세븐으로 또 다른 10년을 울궈 먹어야 겠지요. (갑자기 드는 생각인데…) cannibalization을 피하기 위해서 Vista를 일부러 실패시킨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인텔의 새로운 플랫폼은 파인트레일이 아니었나요? 인텔도 이제 ARM Core를 라이센스해서 반도체를 개발하는 회사들 처럼, System on Chip 회사로 사업 방향을 바꾸려나 봅니다.
태블릿은.. 확실한 사용성을 바꾸는 게 아니면 여전히 오리무중이랄까요?
인텔은 이미 ARM 코어 라이센스 생산을 했다가 몇 년 전에 x86을 모바일에 집중시키기 위해서 해당 사업부를 팔았습니다. 인텔이 ARM을 면허 생산할 일이 없다는 이야기지요. ^^
sora <올해도 CES의 막이 오르자 정말 다양한 소식들이 정신없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이 소식들만 잘 모아서 분석해도 각 분야의 올해 트렌드를 전망할 수 있는데, 오늘은 PC와 관련된 뉴스를 모아 올해의 PC 트렌드를 예상해 봅니다.> 이 글을 참고해주세요:)
타블렛의 시대여 오라!!!! (TC1100 유저 ㅋㅋ)
개인적으로 ARM의 저전력으로 8인치 급의 1024×768 해상도의 슬레이트 타입 리눅스 기반 타블렛이
저렴하게 나오면 대박나지 않을까 생각을 해봅니다.
그렇잖아도 HP 슬레이트를 보고 TC1100 이야기를 적으려던 참입니다. ^^
HP 슬레이트 마음에 드네요…. 테블릿이 충분히 성잘할때가 된거 같네요 왜냐면 저전력 기술,울트라씬 기술, 윈도우 7 멀티터치 기술,LED디스플레이 슬림화, 신형 아톰과 아이온…향후 2년간 엄청난 제품들이 쏟아지죠..
그러게요. 지금 아톰을 보면 과거 셀러론보다는 확실히 앞선다는 느낌이 드니.. 다만 어떤 사용성을 갖출지가 가장 큰 걸림돌일 듯 싶어요~ ^^
1번 PC너무 이쁜데요? ^^
저는 내년에(올해?) 온다는 맥 타블릿도 기대를 해보고있습니다.
그건 올해 나올 거고요. 저도 어떤 제품일지 기대됩니다. ^^
HP는 항상 멋진 디자인으로.. 하앍… 슬레이트!!!!!!
그렇죠.. 언제나 멋진 디자인. ㅋㅋㅋ
흑흑… 최신 제품들이 속속 나오고 있는데,
제가 만지고 있는 컴퓨터는 항상 똑같은 녀석!
후우… 어디서 로또 1등 한장 안 떨어지나 몰라요! ㅎㅎ
하지만 언제나 다른 이야기가 샘솟는 악랄가츠님이 더 부럽습니다. ㅋㄷㅋㄷ
이번 CES가 다른 때 보다 많은 주목을 받았던거 같네요.
잘 봤습니다.
블로그로 퍼갑니다~혹시 문제가 된다면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지난해 IFA 전시 현장 소식(2009/09/04 – 사진으로 본 IFA 전시회의 뜨거운 현장 스케치)을 전해 드린데 이어 올해는 미국의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10’ 현장에 와 있습니다. 화려한 네온사인과 형형색색의 호텔은 ‘내가 드디어 라스베가스에 도착했구나!’ 하는 실감을 하게 해주었고, 사막 특유의 건조하지만 쾌청한 날씨는 장시간 비행으로 지친 몸과 마음을 회복시키기에 충분했습니다. 사진 출처: CES 공식 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