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민주화를 강화한 올인원 운영체제 ‘윈도우 11’

사실 발표 직전까지 왜 윈도 10이 아니라 윈도 11로 내놓는지 의아했다. 아마도 사전에 유출된 윈도 11과 관련된 수많은 정보들이 공유되면서 기능적인 변화를 크게 느낄 수 없던 터라 그랬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자정부터 한 시간여 진행된 윈도 11 이벤트 이후 그럴만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이번 윈도우 11은 기술적인 변화가 아니라 운영체제와 관련된 정책적인 변화가 컸고, 이에 따라 상징적으로 버전을 달리할 필요성은 충분해 보였던 것이다.

정책적인 변화로 인해 새로운 윈도 버전으로 발표하는 것은 상당히 이례적인 일이다. 지금까지 마이크로소프트는 운영체제의 코어나 이를 위한 개발 환경이 크게 달라졌을 때 윈도우에 새로운 버전을 달았다. 하지만 이번 윈도 11은 종전 윈도 10의 코어와 크게 달라진 부분을 찾기 어렵다. 비록 그래픽 인터페이스가 색다르게 변하기는 했지만, 그것이 윈도 11의 특징이라고 말하기는 부족하다. 그만큼 이번 윈도 11을 이해하는 건 쉽지 않은 일이다.

이번 윈도 11을 한 마디로 요약하면 ‘플랫폼 민주화를 강화한 올인원 운영체제’로 바뀐다는 점이다. 이는 두 가지 방향으로 살펴봐야 한다. 하나는 이용자의 다양한 디바이스 이용 경험을 하나로 통합하는 올인원과, 다른 하나는 개방된 운영체제에서 다른 플랫폼을 위해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 민주화라는 측면이다.

더 이상 데스크톱과 태블릿의 경계를 나누지 않는다
먼저 PC 이용 환경의 올인원을 이야기해보자. 윈도 11에 앞서 현재 이용 중인 윈도 10은 과거 PC의 이용 경험을 극대화한 운영체제다. 극단적인 터치 환경에 최적화했던 윈도 8, 윈도 8.1에 대한 비판을 수용하고, 데스크톱 중심의 작업 환경으로 복원하면서 다시 PC 운영체제로써 중심을 잡았다.

그런데 윈도 10이 출시되기 이전부터 마이크로소프트는 터치로 쓰면서 노트북의 활용성을 가진 투인원 환경을 강조해왔던 터라 데스크톱 모드로 복귀한 이후에도 터치 환경을 유지해야만 했다. 때문에 윈도 10은 데스크톱 모드라는 기본 골격은 유지하면서 이용자가 장치의 키보드를 분리하거나 화면을 접어 터치 환경으로 전환하는 순간 이에 최적화한 태블릿 모드를 제공하는 방식을 썼다.

윈도 10의 태블릿 모드. 데스크톱 화면을 완전히 가리고 시작 화면의 타일로 대체된다.

윈도 10의 태블릿 모드는 기본적으로 데스크톱 화면을 가리고 곧바로 시작 메뉴로 화면을 덮기 때문에 데스크톱 화면의 데이터에 접근하려면 탐색기를 써야만 한다. 또한 창 모드를 없애고 손가락이나 펜으로 터치하기 쉬운 버튼 구조와 제스처 방식으로 응용 프로그램을 다루도록 했기 때문에 두 가지 환경에 각각 적응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에 비해 윈도 11은 두 가지 환경을 따로 적응할 필요가 없다. 모종의 경로로 이미 경험해 본 이용자는 알겠지만, 윈도 11은 태블릿 모드를 선택할 수 없다. 그렇다고 터치 환경을 버리고 데스크톱을 강화한 것도 아니다. 윈도 11에서 달라진 점은 태블릿 모드 전환 없이 데스크톱 안에서 터치하기 더 쉬운 환경으로 인터페이스를 변경했다는 정도다.

윈도 11의 작업 표시줄과 시작 화면. 마우스든, 터치든 어떤 인터페이스에서도 손쉽게 다룰 수 있는 환경으로 정비했다.

작업 표시줄 중앙으로 시작 버튼을 옮긴 것도 그러한 시도 중 하나지만, 가장 눈에 띄는 것은 터치 환경에서 데스크톱 모드를 유지한 채 작업을 관리할 수 있도록 만든 점이다. 특히 윈도 11 발표 행사 도중 시연자들이 종종 키보드나 마우스가 아닌 데스크톱 화면에서 터치로 프로그램이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이를 보여준다.

그 중에서도 앱을 실행한 뒤 전체 화면으로 확대하는 버튼을 길게 누르면 현재 창을 어떤 형태로 바꿀 지 보여주는 아이콘이 여러 개 나타나는 부분이 눈길을 끈다. 스냅 레이아웃이라고 부르는 이 기능은 이용자가 마우스를 이용하든 터치를 이용하든 동일하게 나타나는데, 현재 실행 중인 앱이 여러 개 있을 때 화면을 일정 크기로 분할해 배치할 수 있도록 해준다.

윈도 10도 데스크톱 모드나 태블릿 모드에서 분할 기능은 있었다. 단지 두 개 이상의 창을 한 화면에 띄우려면 창을 끌어다 화면 양옆 또는 위와 아래로 이동시켜야 했다. 마우스는 그나마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었지만, 터치 제스처는 사람의 실수 아닌 실수로 인한 오작동을 적지 않게 겪을 수밖에 없었지만, 윈도우 11은 더 이상 그런 문제를 반복하지 않도록 설계했다.

그런데 윈도 11이 데스크톱에 터치 환경을 통합하면서 몇 가지 제약을 뒀다. 가장 큰 제약은 작업 표시줄을 하단에 고정해 버렸다는 점이다. 시작 메뉴 버튼은 설정에서 위치를 바꿀 수 있지만, 작업 표시줄은 더 이상 화면 왼쪽이나 오른쪽, 또는 상단으로 옮길 수가 없다.

오른쪽 창 크기 조절 버튼을 누르면 이 같은 스냅 레이어가 표시되고 실행 중인 앱을 일정 크기로 나눠 배열할 수 있다.

이는 가로 화면비가 긴 화면에서 작업 표시줄을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세워서 쓰던 이용자들에게 불편을 줄 수 있다. 작업 표시줄이 아래에 있으면 가로보다 세로로 작업 공간이 좁아지는 문제를 낳고 데스크톱 환경에서 매우 비효율적일 수 있는 것이다. 아직 윈도 11 정식 버전이 발표된 것은 아니므로 이를 바꿀 여지가 있을지 알 수는 없으나 마이크로소프트가 작업 표시줄의 위치 이동을 더 이상 허용하지 않으면 앞으로 노트북이나 모니터의 화면비가 매우 중요해질 수밖에 없어 제품 형태도 일부 변화가 불가피한 부분이다.

안드로이드 앱 환경 통합의 진짜 속내
거의 ‘하나 더’에 가까운 발표였다. 윈도 11 발표 끝 무렵 안드로이드 버전의 틱톡을 실행한 장면부터 가장 흥미로운 시간이 흘렀다. 그 발표를 지켜보며 이제 윈도에서 안드로이드 앱을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는 설명서는 모두 다시 써야만 한다는 걸 깨달았다. 그런 설명서가 필요했던 이유는 윈도에서 안드로이드 앱을 손쉽게 실행할 수 없었던 탓이다. 그러나 이번 만큼은 윈도에서 안드로이드 앱 실행을 막을 방법이 없다. 이 말을 돌려보면 그 이전에는 누군가 방해를 했다는 뜻이다. 그 방해자는 다름 아닌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이었다.

현재 윈도에서 안드로이드 앱 실행은 전혀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지금도 블루스택처럼 에뮬레이터나 가상 머신을 통해 안드로이드 앱을 실행하는 방법은 쉽게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에뮬레이션 방식이 아니라 네이티브 방식으로 안드로이드 앱을 실행하려는 제품을 PC 제조사들이 내놓으려 할 때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이 적극적으로 차단했다는 것은 이미 알려질 대로 알려진 사실이다.

윈도 스토어에 아마존 앱스토어를 내장해 손쉽게 안드로이드 앱을 PC에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2013년 삼성전자의 아티브 Q(ATIV Q)와 2014년 에이수스의 트랜스포머 북 듀엣 TD300 같은 듀얼 OS 노트북이이었다. 두 투인원 제품들은 인텔의 강력한 지원으로 설계된 제품들이었다. 두 제품 모두 윈도 8과 안드로이드를 모두 탑재했지만, 윈도 지배력 약화나 온전한 안드로이드 장치를 원한다는 이유로 두 운영체제가 한 장치에서 공존하는 ‘꼬라지’를 원치 않았던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의 압박으로 끝내 세상의 빛을 보지 못했다. 특히 삼성 아티브 Q는 윈도 8과 안드로이드를 각각 부팅할 수 있으면서도 안드로이드 앱을 윈도 8 환경에서 실행할 수 있는 매우 독특한 기능을 제공했기에 두 회사 모두 민감하게 반응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의 지배력이 약화되는 것을 우려해 이러한 장치의 등장을 더욱 껄끄러워했다.

그런 과거의 행적이 있던 마이크로소프트가 입장을 180도 바꿔 윈도우 11에서 안드로이드 앱을 실행할 것이라고 발표한 것이다. 터치가 가능한 투인원 윈도 제품군에서 이용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 환경을 구성하는 것에 더 적극적으로 나선 것이다. 재미있는 사실은 2013년과 2014년 듀얼 OS 제품을 내놓을 수 있는 기술을 제조사에 준 것도 인텔이었고, 마이크로소프트에 안드로이드 앱을 실행할 수 있는 기술을 준 것 또한 인텔이라는 점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그것을 받아 안드로이드 앱 실행을 직접 실행하면서 윈도 11의 플랫폼 민주화 및 개방성으로 무기화했으니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인텔은 ARM 아키텍처에서 작동하는 안드로이드 앱을 인텔과 AMD 등 x86에서 실행할 수 있는 브릿지 기술(Bridge Technology)을 마이크로소프트에 제공했다. 브릿지 기술은 런타임 포스트 컴파일러(Runtime Post-Compiler)로 앱은 실시간으로 실행되는 듯하지만, 실행과 동시에 코드를 두 번 컴파일하고 운영체제에서 이해할 수 있는 명령어로 제공하는 사후 컴파일 형식이다. 즉, 이용자나 개발자가 안드로이드 앱의 변환 없이 스토어를 통해 설치한 안드로이드 앱을 실행만 하면 되는 것이다.

윈도 11이 안드로이드 앱의 실행을 위해 어떤 구조적 변화를 갖고 있는지, 결제 시스템이 어떻게 연동되는지 아직 알려진 게 없다. 또한 얼마나 잘 실행될 것인지도 모른다. 안드로이드를 내장한 구글 크롬OS 마저 x86 시스템에서 안드로이드 앱을 실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결코 쉬운 일은 아닐 것이다. 우리는 틱톡이 윈도에서 실행된 모습을 봤을 뿐, 다른 안드로이드 앱의 실행 수준을 평가하기엔 정보가 너무 적은 상황이다.

그러나 마이크로소프트는 안드로이드 앱의 설치를 위해 단단히 벼른 듯하다. 일단 안드로이드 앱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윈도 스토어 안에 아마존 앱 스토어를 연결한다. 아마존은 AOSP 기반의 독자적 파이어OS를 위한 아마존 앱 스토어를 운영해 온터라 적지 않은 앱을 확보하고 있다. 이 말은 구글 기반 앱은 윈도 스토어에 없음을 가리키는 동시에, 구글을 제외한 안드로이드 앱에 대한 접근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아마존 앱 스토어가 아니라도 윈도 스토어에 다른 안드로이드 스토어의 연동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중요한 것은 윈도 11을 실행 중인 PC에서 안드로이드 앱을 실행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이냐는 점이다. 부정적으로 보면 굳이 PC에 최적화하지 않은 앱을 실행하는 것에 반감을 가질 수도 있다. 당장 윈도우 11 장치들은 센서나 AI 코어, 이미지 장치 등 안드로이드 앱이 요구하는 하드웨어 요건이 갖추지 못한 상태일 수 있다. 결국 안드로이드 앱의 호환성을 높이려면 지금까지 PC에 없던 요소를 더해야 할 수도 있음을 뜻한다.

하지만, 긍정적으로 볼 지점도 만만치 않다. 이용자 입장에선 터치를 할 수 있는 투인원 폼팩터 PC에서 쓸만한 응용 프로그램을 확보할 수 있다. 아마도 마우스보다 터치가 편한 세대에 윈도에서 실행되는 안드로이드 앱은 매우 유용할 것이다. 또한 모바일처럼 전력을 고민하지 않아도 되는 만큼 고성능 하드웨어에서 더 향상된 안드로이드 앱을 경험할 수도 있다. 무엇보다 안드로이드 앱 개발자들이 윈도 11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점이 중요하다. 기존 윈도용 앱이나 게임의 유통을 위한 수많은 플랫폼이 윈도에 있지만, 안드로이드 앱을 유통하는 것은 환경을 더 개방해 이용자가 필요한 앱을 유통하는 플랫폼으로써 역할을 강화할 수 있다.

이는 윈도 11이 플랫폼 제작자를 위해 개방된다는 메시지를 주기에 충분한 제스처다. 윈도 11 발표의 마무리를 위해 등장한 사티아 나델라는 “역사를 통틀어 윈도는 전세계를 위한 민주화 세력(Democratizing Force)이었다”고 평가하면서, 윈도 11이 플랫폼 제작자를 위한 플랫폼이라고 소개했다. 허용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이용자가 자유롭게 소프트웨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다른 유통 플랫폼의 성장을 위해 개방성을 더 강화함으로써 플랫폼의 진정한 의미를 살리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것이다. 아마도 마이크로소프트의 이 같은 움직임은 폐쇄적인 다른 플랫폼에 대한 도전을 더욱 거세지게 만들 가능성이 높지만, 적어도 마이크로소프트와 윈도 11에선 폐쇄적 플랫폼을 지향하는 업계를 저격하는 데 매우 유용한 무기로 쓰일 듯하다.

레거시 하드웨어와 앱에 이별을 고하다
윈도 11이 여러 환경을 통합하는 올인원 운영체제지만, 버리는 것도 제법 많다. 윈도 11에 맞지 않은 하드웨어를 포기하는 한편, 쓰임새가 적어진 기본 소프트웨어와 기능도 적지 않게 정리한다.

먼저 버려지는 소프트웨어를 보자. 이제 지원을 끊어 버린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윈도 11에 포함되지 않는다. 크로미움 기반의 엣지 브라우저만 탑재된다. 3D 뷰어와 페인트도 사라진다. 팀즈가 흥하면서 스카이프도 더 이상 윈도 11의 기본 프로그램으로서 지위를 잃게 됐다. 스카이프가 얼마나 오랫동안 남아 있게 될지 모르지만, 더 강력한 팀즈를 사전 탑재하는 것에 대한 반독점 문제는 피할 수 없을 듯하다.

잘 쓰지 않는 여러 기능도 정리에 들어갔다. 앞서 설명한 태블릿 모드와 작업 표시줄의 위치 이동은 물론, 시작 화면의 라이브 타일이 제거됐다. 라이브 타일은 앱 실행 아이콘의 역할과 위젯의 역할을 동시에 했지만, 윈도 11은 모두 똑같은 크기의 아이콘으로만 남는다. 캡쳐 도구인 윈도 스니핑 도구(Snipping Tool)도 없애는 것으로 확인됐고 이를 스닙&스케치 앱으로 대체한다. 최근 실행한 앱, 콘텐츠 보기도 사라졌다.

이처럼 윈도 11 안은 새로 추가되거나 사라진 기능이 적지 않다. 그러나 지금 이순간 가장 크게 관심을 끄는 부분은 하드웨어 조건이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 10을 윈도 11로 무료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고 공식 발표한 터라 더 큰 기대를 가진 이용자들이 적지 않다. 윈도우 11을 발표한 이후 지금 내가 쓰는 시스템에서 윈도 11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느냐 여부만큼 중요한 것은 없는 상황인 것이다.

안타까운 소식은 윈도 10을 쓰는 모든 이용자가 윈도 11로 업그레이드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이번 윈도 11은 최소 요구 제원이 윈도 10보다 까다롭다. 윈도 11이 가능한 인텔 또는 AMD 프로세서의 목록에 포함되어 있더라도, 램과 저장 공간을 확보하고 있더라도, 그래픽 요구 조건을 충족하고 있더라도 불가능할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 11을 설치할 수 있는 최소 요구 조건에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몇 가지 요소를 추가했다. 기본적으로 UEFI 펌웨어를 가진 메인보드를 써야한다. 여기에 보안 부팅을 위한 시큐어 부트(Secure Boot)가 활성화되어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키와 암호, 디지털 인증서를 저장하는 TPM(Trust Platform Module) 2.0을 갖춰야 한다. 중요한 것은 이것 중 하나만 있으면 되는 것이 아니라 UEFI+시큐어부트+TPM 2.0이 콤보로 있는 시스템이어야 한다.

윈도 11을 위한 최소 하드웨어 요구 조건. 종전보다 훨씬 까다롭고 세분화됐다.

하드웨어 조건만 어느 정도 충족되면 업그레이드나 설치가 가능했던 윈도 10은 오래된 레거시 PC에서도 잘 작동하는 운영체제다. 윈도 11은 이러한 레거시 하드웨어를 더 이상 지원하지 않는다. 윈도가 아무리 강력한 보안 기능을 갖고 있어도 기본적으로 보안에 취약한 하드웨어에서 허점을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윈도 11로 업그레이드가 불가능한 이용자들은 윈도 10을 계속 이용하면 그만일 것이다. 하지만 윈도 10의 수명 주기가 문제다. 수명 주기는 보안이나 기능, 문제점 수정 같은 유지 보수를 언제까지 할 것인지 정해 놓은 것이다. 윈도 10 이전까지 윈도의 수명 주기는 대부분 10년이었다.

윈도 10은 기존 윈도와 다른 수명 주기를 갖고 있었다. 서비스로서 윈도(Windows as a Service) 개념을 도입한 윈도 10은 해마다 상반기, 하반기에 거대 업데이트를 포함한 새 버전이 발표되면 그 이후 18개월씩 수명 주기가 자동으로 설정됐다. 하지만 윈도 11 발표에 앞서 윈도 10의 수명 주기가 새롭게 정해졌다. 버전별로 차이는 있지만, 윈도 10홈과 프로를 기준으로 최종 수명 주기는 2025년 10월 14일에 끝난다. 이는 이후 윈도 10에 대한 보안 및 기능 업데이트가 이뤄지지 않는다는 이야기다.

공식 발표된 윈도 10의 수명 주기.

윈도 11 출시 시점에서 계산하면 4년 남짓 남았을 뿐이다. 아마도 그 때 가서 새 시스템을 구입하면 되는 게 아닌가 싶을 텐데, 잘 생각해볼 문제가 하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 10을 윈도 11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기간의 문제다. 아직 이에 대한 구체적 내용이 나온 게 없으므로 출시 전후로 나올 업그레이드 정책을 지켜봐야 한다. 다만, 일정 기간 안에 업그레이드해야 라이센스를 영구 존속했던 윈도 10의 사례를 따라갈 것으로 예상해 보면 구형 시스템 이용자들에게 업그레이드 시기를 윈도 10의 수명 주기까지 늦추는 게 바람직하지 않을 지도 모른다.

그렇기에 윈도 11은 출시 전후로 적지 않게 시끄러울 것이다. 마이크로소프트로선 보안 강화를 위해 불가피하게 더 많은 조건을 붙인 최소 하드웨어 정책을 공개했지만, 운영체제 업그레이드가 불가능한 이용자들로부터 원성을 피할 도리는 없어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이크로소프트가 이 정책을 쉽게 바꿀 것 같지는 않다. 보안은 더 이상 옵션이 아니라 필수 조건인 세상이기 때문이다.

덧붙임 #

스킨 오류로 이 곳에 공개된 모든 글의 작성일이 동일하게 표시되고 있습니다. 이 글은 2021년 6월 26일에 공개되었습니다.

PHIL CHiTSOL CHOI Written by:

Be First to Comment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